-
침체 신호에 지갑 닫는 美소비자…트럼프발 관세 폭풍에 뉴욕증시 ‘나홀로 추락’ [글로벌 왓]지금 이곳에선 2025. 3. 17. 17:55
침체 신호에 지갑 닫는 美소비자…트럼프발 관세 폭풍에 뉴욕증시 ‘나홀로 추락’ [글로벌 왓]
입력2025-03-17 14:57:05수정 2025.03.17 15:04:33 윤경환 기자
3월초 오프라인 매장 방문객 수 4.3% ↓
소비심리지수 석달 연속 하락…항공도 '비상'
S&P500 6% 하락 사이 홍콩은 22% ↑
글로벌 자금 美 이탈에 유럽 증시도 강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 등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로 미국인들의 소비가 위축되고 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포착된다.
16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글로벌 컨설팅 업체 리테일넥스트를 인용해 이달 초 미국 오프라인 매장 방문객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줄었다고 보도했다.
모바일 기기 신호로 소매 데이터를 분석하는 플레이서닷에이아이도 최근 몇 주 동안 월마트, 타깃, 베스트바이와 같은 미국 대형 오프라인 유통 매장의 방문객 수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 기관 서카나에서는 이달 2~8일 비필수 소비재 판매가 3%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움츠러드는 미국 소비를 보여준 지표는 이뿐만이 아니다.
14일 발표된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3개월 연속 하락해 2022년 1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 조사에서 미국 소비자들의 향후 물가 상승 기대치는 상승했다. 소비 심리는 위축되는 반면에 물가는 계속 올라갈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경기 침체 가능성을 일축하는 대신 강력한 관세 정책을 강행하면서 미국 경제를 떠받치는 소비가 흔들리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특히 경기 둔화 흐름과 함께 인플레이션 우려가 고개를 들면서 저소득층의 소비가 직격탄을 맞았다는 점에서 징후가 좋지 않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증시에서 ‘나홀로 호황’을 누렸던 미국 증시는 최근 두 달 새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다.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이달 14일까지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6.0% 하락한 반면 홍콩 항셍지수와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홍콩H지수)는 각각 20.2%, 22.7% 급등했다.
이 기간 스톡스 유럽 600(4.4%), 독일 DAX(10.1%), 프랑스 CAC 40(4.1%), 영국 FTSE 100(1.5%) 등 유럽 주요 국가 지수도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시장조사 업체 EPFR 글로벌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 주식 펀드에서는 올 들어 처음으로 25억 달러(약 3조 6000억 원)의 자금이 순유출됐다.
경고음이 잇따르고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에선 단기적인 현상으로 치부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스콧 베센트 재무 장관은 이날 “주가 조정은 건강한 것이라 걱정하지 않는다”며 “장기적으로 좋은 세금 정책과 규제 완화 정책을 실시하고 에너지 안보를 이룬다면 좋은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최근 증시 부진과 관련 “(주식) 시장을 보지 않는다”고 말해 시장에 충격을 줬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GQA5G5NEV/GF0101?utm_source=dable
'지금 이곳에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년만 바닥 찍은 유가…골드만삭스 전망 또 '하향'[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0) 2025.03.17 [단독] 국내서도 '비트코인 현물 ETF' 투자 가능해진다 (0) 2025.03.17 ‘월 671만원’ 시그니엘 관리비 깜짝…“연봉 1억도 못내” (2) 2025.03.17 뉴잼/ 뉴스가 재밌다 (2) 2025.03.16 독기 품은 中, 기술자립 굴기 (5) 202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