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오'로 돈 버는 유튜버…과격시위 불지피고 하루에만 1천만원지금 이곳에선 2025. 1. 20. 20:15
'증오'로 돈 버는 유튜버…과격시위 불지피고 하루에만 1천만원
양세호 기자 yang.seiho@mk.co.kr
김송현 기자 kim.songhyun@mk.co.kr
입력 : 2025-01-20 17:57:25
계엄·영장집행 등 이슈마다극우성향 유튜브들 시위 유도구독자 162만 채널 1억 벌어서부지법 폭동 주도자 지목에서로 남탓하며 편가르기도법조계 "교사혐의 처벌 가능"지난 19일 새벽 윤석열 대통령의 강성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방법원에 무단으로 난입해 충격을 던져줬다. 법치주의 최후의 보루인 법원에 난입해 경찰을 폭행하고 법원 사무실과 기물을 파손하는 일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 같은 집단 난동 사태를 키운 요인 중 하나로 '슈퍼챗' 등을 통해 수익 극대화를 노린 극우 유튜버들이 지목되고 있다. 경찰은 "폭력 사태와 관련이 있다면 극우 유튜버도 철저하게 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법조계에서도 불법·폭력 사태를 선동 지시해 영향을 준 사실이 입증되면 '교사 혐의'로 처벌받을 수 있다고 봤다.
20일 매일경제가 유튜브 분석 플랫폼 플레이보드에서 지난 3일 윤 대통령의 1차 체포영장 집행 이후 현재까지 18일간의 슈퍼챗 수익을 분석한 결과, 극우성향으로 분류되는 유튜버 채널 5개가 벌어들인 돈은 2억7447만원 규모로 잠정 집계됐다.
하루 최고 1705만원의 수익을 올린 채널도 확인됐다. 이는 지난 일주일(6~12일)간 슈퍼챗 수익 상위 10개 채널 중 보수성향 채널 5개를 분석한 결과다.
극우 유튜버들이 최근 집회, 시위 등 혼란을 틈타 세력을 불리고 경제적으로 수혜를 보고 있는 것이다.
채널별로 해당 기간 동안 가장 많은 수익을 벌어들인 곳은 162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대표 극우 유튜브 채널 A다. A채널은 지난 3일부터 20일까지 누적 총 1억896만원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A채널은 1차 체포영장 집행 시도 이후 이틀 뒤인 5일에 하루 최대1305만원을 벌기도 했다.
A채널의 구독자 수는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전날과 비교해 약 11만명(7%) 증가하기도 했다. A채널 구독자 수는 지난해 1월엔 149만명에서 거의 변동이 없었는데 비상계엄 사태 이후 1개월 반 만에 약 11만명이나 급격하게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하루 기준 가장 많은 수익을 벌어들인 극우 유튜버 채널은 최근 더불어민주당에 고발당하기도 했던 B채널이다. 지난 15일 윤 대통령이 체포된 날 이 채널의 하루 수익은 1705만원으로 집계됐다. B채널의 구독자 수는 12·3 비상계엄 사태 전날과 비교해 43만7000명(157%) 증가하기도 했다.
이 밖에 최근 18일간 주요 수익 상위 채널이 벌어들인 수익은 C채널 4004만원, D채널 4552만원, E채널 2407만원 등이다.
지난 19일 새벽 서부지법 집단 난동 사태도 유튜버들이 주도했다는 주장이 나온다. 특히 유튜버들이 집회에서 실시간 방송을 하며 후원을 받기 위해 더 과격한 행동을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경찰은 당시 서부지법 내부에 침입한 46명 중 유튜버 3명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한 검사 출신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유튜버가 직접 폭력을 행사하지 않더라도 서부지법 폭력과 파손을 선동·지시했고 그게 시위대에 전달돼 영향을 줬단 사실이 입증되면 교사범으로서 정범(시위대)과 같은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선 2020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부정선거 의혹 제기와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난입 사태 등 미국의 전례가 서부지법 폭동의 본보기가 됐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내 극우 유튜버들은 지난해 기성 언론이 '히든 해리스' 등을 예측한 것과 달리 트럼프의 압승으로 나타난 대선 결과를 예로 들며 언론 불신을 부추기고 있다.
한편 극우 유튜버 채널이 폭동 주도 핵심 중 하나로 꼽히자 '선 긋기'로 '남탓'을 하는 움직임도 엿보인다. 서부지법에서의 집회 이후 유튜버 간 파벌싸움이 대표적이다. A채널 대표는 다른 극우 유튜버가 폭력 선동 배후라며 영상을 올리고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서부지법에서의 집단 난동 사태가 경찰 수사로까지 확대되자 책임을 회피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양세호 기자 / 김송현 기자]
'지금 이곳에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의 해석 개헌] 7. 윤석열은 헌법을 살해하려 한다 (1) 2025.01.21 65세가 노인?...70세부터 기초연금 주면 연 6조8천억 예산 절감한다는데 (0) 2025.01.20 “변호사비라도”…강성 지지층 ‘서부지법 난동’에 與 골머리 (2) 2025.01.20 "주담대 1억5000만원 갚았더니…" 수수료 본 고객 '깜짝' (0) 2025.01.20 "연말정산 '150만원' 공제받으려다…" 직장인 '날벼락' (0)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