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승헌 변호사 별세…민주화 헌신한 1세대 인권변호사지금 이곳에선 2022. 4. 21. 13:57
한승헌 변호사 별세…민주화 헌신한 1세대 인권변호사
등록 :2022-04-20 23:38수정 :2022-04-21 00:24
신민정 기자 사진
동백림, 민청학련,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부터노무현 대통령 탄핵까지 굵직한 시국사건 도맡아‘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탄생에도 참여한승헌 변호사가 2018년 5월15일 저녁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한겨레> 창간 30돌 기념식에서 한겨레신문 창간위원장으로서 축사를 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한국사회를 대표하는 1세대 인권변호사로 60년 가까이 민주화와 인권 신장에 기여한 한승헌 변호사가 20일 밤 9시께 별세했다. 향년 88.
1934년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태어난 고인은 전북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1957년 제8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했다. 1960년 검사로 임관해 5년간 통영지청·법무부 검찰국·서울지검 등에서 근무했고, 1965년 변호사로 개업한 뒤 ‘분지 필화사건’(1965)을 시작으로 인권변호 활동에 뛰어들었다. 동백림 사건(1967), 통일혁명당 사건(1968), 민청학련 사건(1974), 인혁당 사건(1975),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사건(1980), 노무현 대통령 탄핵사건(2004) 등 굵직한 시국사건을 도맡았다.
박정희·전두환 정권을 거치며 군부에 협력하는 언론이 아닌 국민의 뜻을 대변할 신문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공감했던 그는 1988년 5월15일 군사정권에서 해직된 기자 등이 모여서 만든 국민주신문 <한겨레> 창간위원장을 맡았다. 같은 해 5월 시국사건 변호사들이 모인 정법회(정의실천 법조인회)를 모태로 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발족에도 참여했다.
고인은 국민의정부 시절 감사원장(1998∼99), 참여정부 시절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2005)을 역임했다. 문재인 정부 때인 2018년에는 민주화운동과 사법개혁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그 스스로 “웃을 만한 일이 별로 없는 환경에서 살아왔다”고 했지만 <산민객담> 등 유머 관련 책들을 쓰는 등 “유머의 만인화”를 바랐다. 2009년 <한겨레> ‘길을 찾아서’ 코너에 자신이 걸어온 삶을 연재했다. 빈소는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 차려질 예정이다.
#한승헌 #변호사 #별세…#민주화 #헌신한 #1세대 #인권변호사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39782.html
@@@대학원 시절 저권권 관련 강의를 해주시던 교수님이셨는 데 ... 민주화 의 산증인 이셨던 변호사님.... 아픔 없는 곳에서 영면하시기를요.
2017년 6월 22일에 역사적인 판결이 있었는데,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아 아쉬운 마음에 소개합니다. 일명 시국사건 1호 변호사 한승헌 변호사님이 42년 만에 무죄판결을 받았다는 소식입니다. 모르는 분들을 위해 간략히 정리해 보고 의미를 몇자 적어 봅니다.
"무죄를 확신하면서도 유죄를 학신했다." 시국사건 1호 변호사 한승헌 반공법 위반 혐의 42년만에 무죄 판결, 대한민국 사법 질서가 바로 서고 있다.1.한승헌 변호사 프로필
한승헌(韓勝憲) 아호 산민(山民), 1934년 9월 29일 전라북도 진안군 출생으로 태어난 마을은 현재 용담댐으로 수몰되었다. 전주고등학교 졸, 전북대 정치학 전공. 1957년 고등고시 제8회 사법과 합격 졸업후 군법무관, 법무부 검찰국과 서울지검 검사 등을 지내다 1965년 변호사를 개업한다.
한동한 작가들의 변호를 맡다가 인권 변호사로 영역을 넓히며 박정희 독재시절 박해받는 양심수 또는 시국사범을 변호하게 된다. 11972년 《여성동아》에 쓴 〈어떤 조사(弔辭)〉로 필화를 겪으며 1975년 구속되는데 당시 1백29명의 변호인단이 변론에 나서 화제가 되었다고 한다.
반공법 위반 필화사건과 '김대중내란음모사건'으로 박정희, 전두환 정권 시절 두 차례에 걸쳐 21개월간 옥살이를 했으며 1976에서 1983년까지 변호사자격이 박탈되었다.
그럼에도 그의 인권 운동은 포기하지 않았고 김지하 오적 필화 사건, 민청학련 사건, 통일혁명당 사건,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등 중요한 사건을 변론하기도 하면서 그를 시국사건 1호 변호사로 부르며 양심있는 지식인과 민주화 운동을 이들에게 존경을 받고 있다.
인권 변호사 활동 외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1987년), 방송위원회 위원.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헌법재판소 자문위원,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이사장, 12대 감사원장(1998년),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위원장(2005년), 전북대학교 법과대학·가천대학교 법과대학 석좌교수(2007년) 등을 역임했다. 인제인성대상, 정일형.이태영 자유민주상, 중앙대 언론문화상, 한국인권문제연구소 인권상, 임창순 학술상, 단재상 등을 수상했다.
출처: https://oldconan.tistory.com/37957 [올드코난 (Old Conan) 세상사는 이야기]
'지금 이곳에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로구 창신동에서 80대 노모와 50대 아들 숨진 채 발견…“한 달 이상 지나” (0) 2022.04.22 ‘비위 면죄부’ 우려에도 해임 안 된 이정식, 부하직원은 징계 (0) 2022.04.22 들썩이는 집값에…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 토지거래 (0) 2022.04.21 499가구, 999가구 아파트 왜나오나 했더니… “한 채 덜 지어 규제를 피했다” (0) 2022.04.20 HDC현산, 리모델링 시공권도 잃나… 광장 상록타워 계약 해지 논의 (0) 2022.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