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곳에선
-
15살 딸과 엄마 영정…“이태원 같이 갈 정도면 얼마나 친했을지”/“서서 숨진 아들, 내려가지도 못하고…” 아빠 가슴이 조여온다지금 이곳에선 2022. 11. 2. 16:03
15살 딸과 엄마 영정…“이태원 같이 갈 정도면 얼마나 친했을지” 등록 :2022-10-31 20:14 수정 :2022-11-02 14:08 김가윤 기자 사진 ‘이태원 참사’ 최연소 희생자 빈소 엄마·이모·이종사촌과 왔다가 참변 조문 온 중학생 80여명 눈물바다 31일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에서 조문한 시민이 눈물을 닦고 있다. 연합뉴스 31일 오후, 서울의 한 장례식장으로 교복을 입은 중학생 80여명이 줄지어 들어갔다. 지난 29일 밤, ‘이태원 참사’로 숨진 희생자 ㄱ(15)양을 추모하는 발걸음이다. 중학교 3학년인 ㄱ양은 이번 참사 최연소 희생자다. ㄱ양은 지난 29일 밤 핼러윈 데이를 맞아 어머니 ㄴ씨와 이모 ㄷ씨 그리고 이종사촌과 함께 이태원을 찾았다가 참변을 당했다..
-
참사 난 골목인데…이 '여성' 덕분에 목숨 구했다[영상]지금 이곳에선 2022. 11. 2. 15:51
참사 난 골목인데…이 '여성' 덕분에 목숨 구했다[영상] 입력2022-10-31 18:12:24수정 2022.10.31 20:02:03 변윤재 인턴기자 viewer '틱톡' 캡처. 이태원 참사가 발생하기 몇 시간 전 같은 장소, 같은 상황이었음에도 골목길 통행 방향을 통제해 사고를 방지한 여성의 모습이 화제다. 참사 당시에 통행 안내가 있었다면 사고 규모를 줄일 수 있었음을 보여줘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30일 사고 당일 이태원을 찾았던 한 시민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한 여성분 덕분에 집 갔어요. 감사해요"라는 글과 함께 현장 영상을 올렸다. 영상은 사고 발생 전 같은 현장 오르막길 윗부분에서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수많은 인파가 좁은 길에 갇혀 옴짝달싹 못하는 모습은 ..
-
이태원 참사 4시간 전부터 다급한 '압사' 신고만 6건... '경찰'은 없었다지금 이곳에선 2022. 11. 2. 14:38
LIVE ISSUE 이태원 핼러윈 참사 이태원 참사 4시간 전부터 다급한 '압사' 신고만 6건... '경찰'은 없었다 입력2022.11.02 01:00수정2022.11.02 09:45 경찰, 11차례 112신고 공개... '압사' 언급 9번 참사 전까지 하루 112건 이태원파출소 처리 경찰관계자 "신고 불편 수준... 평소처럼 말해" 이상민(가운데) 행정안전부 장관이 1일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사과하고 있다. 이날 윤희근(왼쪽) 경찰청장은 경찰청에서, 오세훈 서울시장도 시청 브리핑실에서 사과했다. 연합뉴스 지난달 29일 발생한 ‘이태원 핼러윈 참사’ 3시간 40분 전부터 적극적 도움을 요청하는 신고가 쇄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사고의 직접 원인인 ‘압사..
-
"내가 어찌 너를 보내냐" 오열… 19세 막내딸 발인식 통곡만 가득지금 이곳에선 2022. 11. 2. 14:37
LIVE ISSUE 이태원 핼러윈 참사 "내가 어찌 너를 보내냐" 오열… 19세 막내딸 발인식 통곡만 가득 입력2022.11.01 11:00수정2022.11.01 13:58 "막내딸 사랑한다는 말이라도 많이 할걸" 눈물로 배웅 광주·전남 최연소 희생자 장성서 발인 1일 오전 전남 장성군 장성읍 기산리 한 장례식장에서 이태원 참사 피해자 A(19)씨의 발인식이 진행되고 있다. 뉴시스 1일 오전 '이태원 참사' 광주·전남 최연소 희생자인 A(19)씨의 발인식이 열린 전남 장성군 장성읍 기산리 한 장례식장에서는 고인의 유가족들이 막내딸과 동생을 잃은 슬픔에 연신 오열을 토해내는 광경에 주민들도 덩달아 눈시울을 적셨다. 막내딸의 마지막 배웅하는 길에 비통함을 견디지 못한 부모가 딸의 이름을 부르짖으며 영정사..
-
압사당한 청춘들… 국가는 또 없었다지금 이곳에선 2022. 11. 1. 19:35
LIVE ISSUE 이태원 핼러윈 참사 압사당한 청춘들… 국가는 또 없었다 입력2022.10.31 04:30수정2022.10.31 07:11 '노마스크 축제' 10만 인파 예고에도 전조 있었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외면 세월호 참사 공통점 '안전 의식' 결여 "행사 주최 없었기에 더 신경 썼어야" "대응·복구보다 예방·대비에 초점을" 30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일대에서 경찰이 압사 사고 현장을 조사하고 있다. 뉴스1 꽃보다 눈부신 154명의 청춘들이 허망하게 쓰러졌다. 이들은 3년을 기다린 '핼러윈 데이'에 길이 40m, 폭 3.2m의 좁은 비탈길에서 압사당했다. 사고 현장은 아비규환이었고 살아남은 이들에게도 악몽이었다. 이번 참사는 2014년 4월 16일 304명이 사망한 세월호 사건 이후 8년 ..
-
핼러윈 데이였지만…적막감에 휩싸인 이태원·홍대지금 이곳에선 2022. 11. 1. 13:33
핼러윈 데이였지만…적막감에 휩싸인 이태원·홍대 최종수정 2022.11.01 10:35 기사입력 2022.11.01 10:35 오후 10시 넘어서도 추모하는 사람들 이태원 일대 대부분 가게 영업 멈춰 홍익대 일대 역시 차분한 분위기 합동분향소 앞 줄지어 기다려…우는 사람도 지난달 31일 서울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추모 공간에 100여명의 사람들이 모였다. 오후 10시가 넘는 시간에도 이들은 추모 공간을 찾아 와 피해자들을 추모했다. /사진=공병선 기자 mydillon@ [아시아경제 공병선 기자] 지난달 31일 서울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오후 10시가 넘어가는 시간이었지만 100여명이 한데 모여 있었다. 늦은 시간에도 사람들이 모인 이유는 최근 벌어진 참사 때문이다. 국화꽃을 놓거나 멍하게 바라..
-
편의점 비닐 봉투·카페 플라스틱 빨대 퇴출…자영업자들 '비상'지금 이곳에선 2022. 11. 1. 13:24
편의점 비닐 봉투·카페 플라스틱 빨대 퇴출…자영업자들 '비상' 곽용희 기자 입력2022.11.01 12:28 수정2022.11.01 13:12 내달 24일부터 음식점과 구내 식당, 카페,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종이컵, 플라스틱 빨대의 사용이 금지된다. 또 편의점 등에서도 대형 슈퍼마켓, 백화점 등 대규모 점포와 마찬가지로 비닐 봉투와 일회용 쇼핑백 사용이 금지된다. 환경부는 오는 24일부터 확대 시행되는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의 세부적인 시행방안과 가이드라인을 1일 발표했다. 2019년 대형 매장에서 비닐봉투 사용이 금지된 이후 첫 확대 조치다. ◆편의점 비닐 봉투 '퇴출' 24일부터 추가로 사용이 규제되는 1회용품은 △1회용 종이컵 △1회용 플라스틱 빨대 △젓는 막대(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된 ..
-
“얘들아 미안하다” 분향소서 눈물 펑펑 흘린 시민들지금 이곳에선 2022. 10. 31. 20:25
“얘들아 미안하다” 분향소서 눈물 펑펑 흘린 시민들 입력2022-10-31 16:45:10수정 2022.10.31 16:45:10 김남명 기자 손수 만든 피켓 들고 피해자 추모 점심시간 분향소 찾은 직장인도… viewer 흰 옷을 입은 60대 여성이 31일 오후 “얘들아 미안하다”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압사사고 희생자 합동분향소를 찾았다. 김남명 기자 “한 번은 실수라 쳐도 두 번은 아니죠. 아이들에게 기본도 안 되어 있는 세상을 살게 했으니까…그게 가장 미안해요.” “저도 그날 이태원 현장에 있었거든요. 마음이 안 좋아서 점심 시간에 들렀습니다.” 31일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압사사고 피해자 합동 분향소에는 오전부터 추모 발길이 이어졌다. 점..
-
"시민이 현장정리도…警, 확성기로 안내만 했어도 피해 줄였을 것"지금 이곳에선 2022. 10. 31. 20:24
"시민이 현장정리도…警, 확성기로 안내만 했어도 피해 줄였을 것" 입력2022-10-31 18:03:40수정 2022.10.31 18:57:36 강동헌 기자·박신원 기자·이건율 기자 ■이태원 참사…이어지는 목격자 증언 警, 평소보다 인원 늘렸다 했지만 추가배치 76명 불과…26명만 교통 현장 붐비고 시끄러운 음악 소리에 "직접 통제·구조 제대로 안돼" 지적 참사 몇시간전 "내려가는 분 먼저" 여성 통솔에 '무사통행' SNS글도 viewer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해밀톤호텔 부근 도로에 시민들이 몰려 있다. 이날 핼러윈 행사 중 인파가 넘어지면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연합뉴스 경찰이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에 대해 코로나19 이전인 2017~2019년 핼러윈 기간에 배치된 인력이 3..
-
올 9월까지 주택매매량 작년 반토막…미분양 물량 증가세지금 이곳에선 2022. 10. 31. 14:59
올 9월까지 주택매매량 작년 반토막…미분양 물량 증가세 입력2022-10-31 06:00:25수정 2022.10.31 06:00:25 노해철 기자 9월 누계 전국 주택 매매, 전년보다 49%↓ 지방보다 서울·수도권 거래 감소폭 커 주택 임대차 거래, 월세 위주로 증가 전국 미분양, 2년 만에 4만 가구 넘어 viewer 9월 전국 주택 거래 현황./자료 제공=국토교통부 올해 들어 9월까지 주택 매매 거래량이 1년 전보다 절반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미분양 물량은 2020년 이후 처음으로 4만 가구를 넘어서며 부동산 경기 침체 우려를 키우고 있다. 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9월 누계 기준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41만 7794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49% 감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