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발 불확실성의 위협 😵 [뉴잼]지금 이곳에선 2025. 3. 9. 19:59
오늘의 이야기는 💬3일 폭설☃️이 내린 강원도 강릉시 교동의 한 공원에서활짝 핀 매화가 눈 이불을 덮고 있는 사진이에요.개구리🐸가 잠에서 깨는 경칩(5일)이 코 앞인 것이 무색하네요.'봄의 시작' 3월이 왔지만 당분간 전국엔 추위가 이어질 전망입니다.환절기 건강 관리에 유의하세요.오늘의 키워드, 불확실😱입니다.연휴 사이 가장 이목을 끈 국제 뉴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정상회담(현지시간 28일) 파행이었어요.공개석상에서 두 정상의 충돌은 2차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유럽을 연결한 '대서양 동맹'의 균열을 더 깊게 했다는 평이 나와요.이에 영국을 비롯한 유럽연합(EU) 국가들이 중재에 나섰어요.장기적으로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완전히 손을 뗄 경우 유럽의 전쟁 지원은 물론 유럽 방위와 세계 안보 질서도 위기에 놓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이요.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이런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에 세계 경제도 엄청난 영향을 받고 있어요.대표적으로 전방위적 관세정책의 공포에 세계 금융시장이 출렁이고 있어요.우리도 예외는 아니에요. 관세에 취약한 국내 산업구조와 경기침체가 금융시장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어요.😰트럼프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하겠다"가상자산 시장도 요동을 치고 있어요.비트코인 가격은 미 정부의 가상화폐 비축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 1월 20일 사상 최고치인 10만8천달러대까지 올랐어요.하지만, 최근 경제적 불확실성 확대에 지난달 28일에는 7만8천달러대까지 급락했어요.그러다 2일(현지시각) 다시 반등해 9만1천달러선을 회복했어요.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이 설립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 가상자산을 전략적으로 비축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에요. 리플(XRP)과 솔라나, 카르다노(ADA)는 각각 33.1%, 24.0%, 65.6% 급등했고요.가상자산 투자자들은 트럼프의 말 한마디에 천당과 지옥을 오가는 것이죠.미국 "캐나다·멕시코에 4일부터 관세 부과… 세율은 유동적"미국이 예고했던 대로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멕시코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거듭 확인했어요.지난달 27일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을 시행일로 언급했지만, 백악관 설명대로 그의 '단순 착각'으로 정리되는 분위기예요.다만 관세율은 기존의 25%에서 하향 조정될 여지를 남겼어요.마약성 진통제 '펜타닐'의 미국 유입 차단을 위한 더 강력한 조처를 내놓는다거나, 대(對)중국 관세를 부과하는 식으로 두 나라가 미국에 '협조'하면 관세율을 내릴 수 있다는 뜻을 밝혔기 때문이에요.‘트럼프표 관세’ 불확실성 잡는다… 정부, 대미 수시 협의 채널 확보정부가 불확실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의 향배를 파악하는 데 긴요한 수시 협의 채널을 확보했다고 밝혔어요.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인근 식당에서 특파원단 간담회를 열어 “미국 신정부 경제·통상 분야 주요 각료급 인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향후 양국 사이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협력 강화 방안을 협의할 수 있는 채널을 구축했다”고 소개했어요.
'지금 이곳에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경수, 윤석열 파면 촉구 단식 농성 돌입…“승리의 밀알 될 것” (0) 2025.03.10 슬기로운 유럽 생활 /교실 내 휴대폰, 도움되나? (2) 2025.03.09 황소처럼 돌진하는 스페인 경제… 관광 덕분? 진짜 답은 따로 있다 (3) 2025.03.08 트럼프 "비트코인 전략 비축", 쉬쉬하는 진짜 이유는 '국가 부채'라는데 (3) 2025.03.08 "한국도 美·英처럼"… 부부 상속세 폐지론 확산 (3) 2025.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