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검찰, 김건희 통신조회로 '22대 총선개입' 정황 확인
    지금 이곳에선 2025. 2. 20. 11:38

     

    검찰, 김건희 통신조회로 '22대 총선개입' 정황 확인

    이명선

    2025년 02월 19일 11시 09분

    지난해 22대 총선 공천을 앞두고 김건희 여사와 김영선 당시 의원(창원시 의창구)이 최소 11차례 이상 연락한 사실을 검찰이 통신 내역으로 확인했다. 이는 2022년 재보궐 국회의원 선거뿐만 아니라, 22대 공천에도 김 여사가 개입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특히 김영선 전 의원이 컷오프를 미리 알고, 경남 김해로 출마 지역을 바꾸는 과정에도 김 여사가 개입한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11월 10일, 이 같은 내용을 <피의자 명태균의 제22대 총선 공천 개입 정황 확인>이란 제목의 수사보고서로 정리했다.  제목에는 '명태균'이라 써놨지만, 보고서 내용은 '김건희'의 총선 개입이었다. 분량은 총 12쪽이다.

    뉴스타파는 오늘(19일) 2024년 11월 10일자 검찰 수사보고서를 추가로 공개한다. 뉴스타파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열람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다.

    검찰 수사보고서 1쪽(2024.11.10. 결재)

    명태균 텔레그램 "여사님 조언 따라 김영선 '김해갑 경선 참여' 언론 발표"

    지난해 9월 5일 뉴스토마토는 김건희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을 처음 보도했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공천을 받지 못했는데 무슨 공천 개입이냐"며 의혹을 부인했다. 김영선 전 의원은 "공천과 관련해 김 여사와 연락한 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검찰 수사보고서에 따르면, 대통령실과 김 전 의원의 해명은 모두 거짓이었다.

    창원지검이 지난해 11월 10일 작성한 <피의자 명태균의 제22대 총선 공천 개입 정황 확인>이란 제목의 검찰 수사보고서에는 22대 총선을 한 달여 앞둔 2024년 2월에 명태균과 김건희, 두 사람이 김영선 공천과 관련해 나눈 텔레그램 대화가 담겨 있다.

    2024년 2월 18일 오후 3시 30분경 텔레그램에서 명 씨는 김 여사에게 김영선 단수 공천을 부탁했다. 하지만 김 여사는 김영선 의원이 경선에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무런 권한이 없는 김 여사가 "경선에 나가라"고 말한 것 자체가 논란이다. 김영선 의원이 컷오프 대상자란 사실도 김 여사가 미리 알려준 것으로 보인다.

     

    검찰 수사보고서 6쪽(2024.11.10. 결재)

    ● 명태균 : 여사님 말씀대로 김해갑 경선도 참여하겠다고 기사를 내지만, 경선 룰에 당원 50% 시민 50%인데 김해에는 당원을 한 명도 가입시키지 못해서 김영선 의원이 이길 방법이 없습니다. (중략) 이 부분이 정리가 안 되면 김해갑에 출마하면 조롱거리 밖에 안 됩니다. (중략) 여사님이 이 부분을 해결해주세요.

    ○ 김건희 : 단수를 주면 나역시 좋음. 기본전략은 경선이 되어야하고, 지금은 김영선 의원이 약체 후보들부터 만나서 포섭해나가자는게 답.

    ● 명태균 : (중략) 지난 대선 때 제가 몸이 부서져라 대통령님을 도왔습니다. 김영선 의원에게 제가 경선하란 말은 못 하겠습니다. 대신 말씀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명태균-김건희 텔레그램 대화 (2024년 2월 18일 오후 3시 30분경)

    명 씨는 이날 김건희 여사에게 “여사님 말씀대로 김해갑 경선에도 참여하겠다고 기사를 낸다”고 말했는데, 검찰이 확인한 결과 실제로 관련 기사가 나왔다.

    다음은 2024년 2월 18일 창원의 한 지역신문 속보 기사다. '국민의힘과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가장 큰 은혜를 입은 인물인 김영선 의원이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위해 김해갑 출마를 선언했다'는 게 기사의 골자다. 검찰도 이 기사를 찾아 보고서에 첨부했다.

    2024년 2월 18일 뉴스경남을 통해 나온 김영선 의원 김해갑 출마 선언 속보 기사. ⓒ뉴스경남

    이 기사를 쓴 기자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명태균이 빨리 기사를 내면 좋겠다고 말해서 명 씨 음성 통화 내용을 기반으로 썼다"면서 청탁 기사였다고 시인했다. 하지만 실상은 명 씨가 기사 내용까지 직접 적어서 준 것으로 보인다.

    김 여사와 텔레그램으로 대화한 뒤, 명 씨는 강혜경 씨와 통화했다. 이때 명 씨는 김영선 전 의원이 창원 의창구에서 컷오프된다는 사실을 김건희 여사가 미리 알려줬고, 출마지를 바꾼다는 언론 보도까지 김 여사가 뒤에서 코치한 사실을 강 씨에게 말했다.

    ● 명태균 그 기사 썼어요? (중략) 내가 쓴 거지 그거. 근데 그게 중요한 게 기사가 오늘 떠야 돼.

    ○ 강혜경 네 알겠습니다.

    ● 명태균 내일 아침에 그 컷오프 발표돼.

    ○ 강혜경 알겠습니다.

    ● 명태균 김영선 컷오프야. 여사가 직접 전화왔어. 그러니까 빨리 기사 내갖고 확인하고. 그 기사를 여사한테 줘야해. 나한테 빨리 보내.

    ○ 강혜경 네네

    명태균-강혜경 통화 녹취록 (2024년 2월 18일 오후 9시 38분경)

     

    국민의힘 공천 심사 발표 무렵 김건희-김영선 '전화 4번' '문자 7번'

    검찰 수사보고서에는 2024년 2월 18일부터 3월 1일까지 12일 동안, 김건희-김영선 두 사람이 전화로 4번, 문자로 7번 등 총 11차례 연락을 주고 받은 사실이 담겨 있다. 이 중 통화 4번은 모두 김 여사가 먼저 전화를 걸었는데, 발신 기지국 위치정보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앞 빌딩, 통신사는 SK텔레콤으로 확인된다.

    2024년 2월 18일부터 3월 1일까지 김건희-김영선 통신내역. ⓒ뉴스타파

    검찰 수사보고서로 드러난 사실을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명 씨가 김 여사에게 “김영선 의원에게 제가 경선하란 말은 못 하겠다”면서 직접 김 의원에게 전화를 해달라고 텔레그램을 통해 말한 건 지난해 2월 18일 오후 3시 30분경. 이 발언 약 1시간 30분 뒤인 2월 18일 오후 5시 2분경 김건희 여사가 두 번에 걸쳐 총 11분 가량 김영선 의원에게 전화를 걸었다. 같은 날 저녁 8시 24분에도 두 사람은 1분 38초간 통화했다.

    2024년 2월 18일 명태균-김건희-김영선 통신내역. ⓒ뉴스타파

    검찰은 김영선 전 의원의 통신영장을 발부받아서 통화 내역을 살폈고, 김건희 여사 소유의 전화번호가 맞는지 통신조회까지 실시했다.

    검찰 수사보고서 제목은 피의자 명태균으로 시작했지만, 정작 보고서 내용은 김건희 여사가 주인공이었다. 그래서 검찰은 수사보고서 마지막에 '김영선 컷오프가 예상되자, 김 여사 조언에 따라 지역구를 김해갑으로 옮겨 급히 언론에 발표하고, 그 발표 기사를 다시 김건희 여사에게 전달하여 김해갑 공천에도 개입하려고 시도한 정황이 확인됐다'는 결론을 내렸다.

    민간인 명태균은 공천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한다. 실제 공천 개입은 김 여사의 행위였고, 텔레그램 대화와 통화 내역이 증거로 남았다. 다만 이들이 김영선 공천에 실패한 건,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협조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김 여사의 문자에 한동훈 위원장이 답장을 하지 않아, 둘의 갈등이 증폭됐단 건 이후에 알려진 사실이다. 갈등의 기폭제가 '김영선 공천'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검찰 수사보고서 8쪽(2024.11.10. 결재)

    '특검' 명분만 키운 창원지검 중간수사 결과 발표

    창원지검은 그제(17일) 이 사건을 서울중앙지검으로 이송한다고 밝혔다. 지난 5개월 동안 창원지검은 △윤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 △ 여론조사 결과 조작 및 무상 제공 의혹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 등을 수사해왔지만, '공천 개입' 관련 수사는 시작조차 하지 않았다.

    앞서 뉴스타파는 검찰이 김건희와 윤 대통령 부부의 카카오톡 및 텔레그램 대화 280개를 정리한 수사보고서(11월 4일자)와 2022년 6월 보궐선거 공천 발표 전날인 5월 9일에 명태균이 윤석열, 김건희, 이준석과 대화를 한 사실을 파악한 수사보고서(11월 9일자)를 공개했다.

    따라서 지난해 11월에 검찰은 이미 윤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혐의를 입증할 증거 상당수를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검찰은 명태균 '황금폰'까지 제출받았지만 수사 방향은 엉뚱한 곳으로 치달았다.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한 강혜경 씨를 사기 혐의로 기소한 게 대표적 사례다.

    이에 따라 오는 27일 국회 본회의 표결을 앞둔 '명태균 특검법'에 대한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특검이 출범할 경우, '공천 개입' 등 본류 의혹에 더해 검찰의 고의적인 부실 수사 여부도 가려져야 할 걸로 보인다. 지난해 10월 31일 검찰이 명태균 씨의 처남 자택을 압수수색하면서, 황금폰이 담긴 '녹색 상자'를 찾지 못한 사실은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https://newstapa.org/article/BZJw9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