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이 탄광 수몰사고 “한·일 정부가 유골 발굴 결단해야”지금 이곳에선 2025. 2. 2. 19:43
조세이 탄광 수몰사고 “한·일 정부가 유골 발굴 결단해야”
2025년은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이 되는 해다. ‘조세이 탄광 수몰사고를 역사에 새기는 모임’ 창설 멤버인 이노우에 요코 공동대표는 피해자 유골 발굴을 위해 시민단체 차원을 넘어선 한·일 양국의 공동 작업을 촉구했다.
최선애 (<슈칸 긴요비> 편집위원)
입력 2025.01.31 07:34 호수 906
일본 조세이 탄광 갱구 발견의 주요 공로자 중 한 명으로 ‘조세이 탄광 수몰사고를 역사에 새기는 모임(이하 새기는 모임)’ 창설 멤버인 이노우에 요코 공동대표(74)를 만나, 지금까지 활동해온 경위와 앞으로 풀어갈 과제에 대해 들었다.
일본 시민단체 ‘조세이 탄광 수몰사고를 역사에 새기는 모임’의 이노우에 요코 공동대표.ⓒ연합뉴스
‘새기는 모임’의 지금까지 활동 경위는?
‘새기는 모임’을 1991년 3월에 만들고 1997년에 처음으로 바다 건너 보이는 조세이 탄광의 배기 탑인 ‘피야(ピーヤ)’의 잠수 조사를 했다.
그때는 바다에 들어가서까지 유골을 발굴할 생각은 하지 않았다. 출범 당시 모임의 목표는 ①피야 보존 ②증언을 포함한 자료수집 ③일본인으로서 사죄나 희생자 전원의 이름을 새긴 추모비 건립이었다. 하지만 추모행사를 하면서 한국의 많은 유족들로부터 ‘유골이 거기에 있는데 어째서 들어가지 않느냐’는 당연한 말을 들었다.
2013년 세워진 ‘추도비’에 대해 한국 유족으로부터 규탄을 받았다고?
‘우리들의 아버지를 괴롭혔을지도 모르는 일본인 직원 이름까지 새겨진 추모비는 받아들일 수 없다. 피해자인 자신들이 어째서 지배자 쪽인 일본인을 향해서도 손을 모으고 추모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인가’라는 이유였다. 우리는 ‘일본인도 전쟁 희생자인 것을 알아달라’고 설득했다.
설득이 되었나?
이 해안 근처의 ‘사이코지’라는 절에는 당시 희생자의 위패가 있었다. 지금은 고인이 된 한국 유족 윤옥희씨가 2011년 그 절에서 자기 아버지 위패를 발견했다. 일본 어디에서 돌아가셨는지조차 모른 채 행방불명이던 아버지의 위패를 70년 만에 대면한 것이다.
그녀는 생후 6개월에 아버지를 잃고 친척집을 이리저리 전전하면서 고생하며 자랐다고 했다.
그 뒤 불교에 귀의해 비구니가 되었다. 옥희씨는 일본이 미워서 일본 제품을 한 번도 산 적이 없다고도 했다. 2019년 우리가 한국 정부와 교섭하려고 서울에 갔을 때 “당신들의 활동 덕분에 내 마음이 누그러졌다. 커피를 사게 해달라”고 했다. 그 커피 한 잔이 정말로 기뻤다.
이노우에 씨의 아버지는 일본 군인이었는데.
아버지는 전쟁 말기인 1944년에 초년병으로 소집되어서 매일 상관에게 구타당했다고 한다. 그렇게 윗사람에게 얻어맞던 중 골수염에 걸려 일주일 가까이 의식을 잃고 오른쪽 눈을 실명했다. 전쟁터에서는 상관이 ‘위안부’를 데리고 다니는 모습이나, 병사들이 중국 여성을 강간하는 현장도 목격한 것 같다.
실명한 아버지는 항상 선글라스를 쓰고 있었다. 제가 초등학교 1학년 때쯤 용기를 내어 “왜 오른쪽 눈이 하얀색이야?”라고 물었더니 아버지는 “총에 맞았어”라고 대답했다. 총탄이 그런 곳에 맞으면 죽었을 텐데, 그 이상은 묻지 못했고 전쟁에 대한 의문이 남았다.
아버지는 상이군인으로 일본 정부에서 연금을 받았고 죽기 전에는 그 액수가 연간 300만 엔이나 되었다. 그것을 받는 데 대해 일본인 가족·유족으로서 늘 부담이 있었다.
군인·유족에 대한 연금이 일본의 지하수맥처럼 흐르고 있어서 전쟁에 반대하거나 식민지 지배를 추궁하기 어려운 것은 아닐까?
실제로 그랬다. (연금 등을) 받는 것으로 입막음이 되었다.
유골을 발굴해 유족에게 돌려주는 것은 중요한 일이지만, 동시에 조선인을 강제연행한 일본 정부나 강제노동을 시킨 기업들의 사죄가 없는 채 유골이 반환되면 제대로 역사에 기록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렇다. 당시 탄광은 반관반민이었고 국가로부터 노동력이나 생산량 공출 명령을 받았다. 따라서 일본 정부가 제대로 책임을 지게 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현시점에 일본 정부의 사죄만 철저하게 추궁하면 국가 등으로부터 이 조사에 대한 폭넓은 협력을 얻지 못해 유골조차 돌려주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강제연행과 강제노동이 있었던 것은 회사 쪽 자료나 증언에 의해 분명히 밝혀졌다. 유골을 발굴해 돌려주는 과정에서 우리가 매스컴을 포함해 그 사실을 정부에 압박해가는 그 흐름이야말로 사과를 포함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조세이 탄광 사고는 명백히 ‘인재’로 보인다.
갱도는 해저에서 불과 37m밖에 되지 않아, 수압이 견딜 수 없는 곳에서 채굴을 하고 있었다. 그걸 알면서도 조업을 허가한 것 자체가 이미 범죄다.
피해자 유골의 발굴과 반환에 관해 정부 차원의 지원과 의지가 그리 적극적이지 않다.
이 바닷속에 유골이 있는 것은 확실하다. 지금의 기술과 돈을 투입하면 반드시 발굴할 수 있다. 이제 이 사업은 시민 수준의 힘을 넘어서 있다. 최종적으로는 국가 간의 공동 작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2025년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이 되는 해다. 유골 발굴의 결단을 한·일 정부에 촉구하고 싶다. 말로 하는 사과보다도, 유골을 가족에게 돌려주는 일 자체가 하나의 사죄 행위가 될 것이다.
※ 이 기사는 〈시사IN〉과 기사 교류를 맺은 일본 독립 언론 〈슈칸 긴요비〉 제1498호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번역·감수: 전혜원 기자
'지금 이곳에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양캘린더] ‘래미안원페를라’ 등 5개 단지 3143가구 공급 (0) 2025.02.02 한강뷰만 빼면 반포 맞먹는 곳…방배 래미안원페를라 통할까? [헬로홈즈] (0) 2025.02.02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부상자 7명…승무원 침착 대처에 승객 협조로 탈출 (0) 2025.01.31 [법조 인사이드] 야근 일상인 대형로펌들...‘재량근로제 도입’ 두고 진통 (1) 2025.01.31 [세계 밝힐 K기술] DL케미칼 30년 공들인 폴리부텐… 中 따돌리고 세계 1위 (1) 202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