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파리 메달리스트 39명중 24명, 지자체가 키웠다
    지금 이곳에선 2024. 8. 7. 10:31

    파리 메달리스트 39명중 24명, 지자체가 키웠다

    펜싱 男 사브르 금메달 4인
    1명 제외하곤 모두 지자체팀
    기업 후원 힘든 비인기 종목
    지자체가 선수 관리 도맡아
    이용대 배출한 전남 화순군
    30년째 배드민턴 선수단 운영

    파리올림픽 펜싱 남자 사브르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대표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그랑팔레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펜싱 남자 사브르 단체 결승전. 오상욱(27), 구본길(35), 박상원(23), 도경동(24)으로 구성된 남자 사브르 대표팀은 헝가리를 45대41로 꺾고 금빛 찌르기에 성공했다.

    '2012 런던' '2020 도쿄' 올림픽 우승에 이어 3연패를 달성하는 순간 대한민국은 환호로 들썩였다. 금메달을 목에 건 '뉴 어펜져스(펜싱+어벤져스)' 4인방 가운데 국민체육진흥공단 소속 구본길을 제외한 나머지 3명은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실업팀(직장운동경기부) 소속이다.

    전국 지자체 소속 국가대표 선수들이 제33회 파리올림픽에서 한국 스포츠의 위상을 세계에 각인시키고 있다. 6일 낮 12시 현재 한국은 금메달 11개, 은메달 8개, 동메달 7개로 종합 6위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낸 1988 서울올림픽 성과(금12·은10·동11)에 근접하고 있다.

    매일경제가 메달을 딴 선수들의 소속팀을 분석해보니 39명 중 62%에 달하는 24명(경상북도체육회 2명 포함)이 지자체 소속이었다. 나머지 10명은 기업, 4명은 학생, 1명은 국군체육부대 소속 군인이다. 지자체 소속 24명 중 광역단체(인천·대전·대구·서울·경북체육회·강원·전남·경기)와 기초단체(청주·화순·순천·예천·인천중구·임실·양평·안산·남양주) 소속이 각각 12명으로 같았다.

    광역단체에서는 인천시청과 대전시청, 서울시청, 경북체육회가 가장 많은 2명의 메달리스트를 배출했다. 기초단체에서는 화순군청, 양평군청, 안산시청이 각각 2명의 메달리스트를 냈다.

    전문가들은 상업성이 약해 프로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고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등 국제대회가 열릴 때만 주목받는 비인기 종목의 경기력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유지되는 배경으로 지자체 역할을 꼽는다.

    김대희 부경대 스마트헬스케어학부 해양스포츠전공 교수는 "지자체는 기업에 비해 재정적 한계가 있어 선수에게 고액 연봉이나 스카우트비를 제시하기 힘들지만 비인기 종목 선수들에겐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최후의 보루"라면서 "국가대표는 각 종목단체가 선발해 지원하지만 평소 선수 육성·관리는 지자체 소속팀이 하기 때문에 이번 올림픽 성과에 지자체 공이 크다"고 평가했다.

    프로 못지않은 시설 지원도 비결로 꼽힌다. 양궁과 유도에서 메달리스트 2명을 배출한 인천시청은 스포츠과학센터에서 종목별 선수의 체력을 측정해 강·약점을 파악한 뒤 강화할 근육을 알려주고, 부상 선수에게는 컨디셔닝센터에서 특별 재활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지자체의 변함없는 지원도 선수 경기력 향상의 요인으로 거론된다. 이용대를 배출하며 배드민턴 고장으로 불리는 전남 화순군은 구복규 현 군수가 화순군청 과장 시절 창단한 배드민턴 선수단이 30년째 이어져오고 있다. 화순군은 전남체육회가 해체한 복싱 선수단의 화순 출신 선수를 영입해 2022년 1월 복싱 선수단을 창단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돕고 있다.

    화순군 관계자는 "선수단이 해체되지 않고 지속될 것이란 믿음은 선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면서 "특히 우리 군은 대회 출전 선수들에게 좋은 성적을 내기보다 다치지 말 것을 먼저 주문하는데, 그래야 선수 생활을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해결 과제도 많다. 지자체 직장운동경기부는 창단·유지와 처우가 '단체장 의지' 등으로 좌지우지되는 경향이 커 선수들 불안감이 여전하다. 여기에 지자체장 겸직 금지, 운영 비용 증가, 선수 자원 확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업팀 숫자도 줄고 있다. 2019년 927개이던 직장운동경기부 팀은 지난해 840개로 줄었다.

    김 교수는 "프로가 되지 못해 아마추어로 가는 선수들이 최고의 경기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직장운동경기부가 최고 수준의 직장이 돼야 한다"면서 "지역 향토 기업이 직장운동경기부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과감한 세제 혜택이 필요하고 타 지역 선수 빼내오기 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수 발굴·육성 시스템, 기부 활성화 등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지홍구 기자]

     

    https://www.mk.co.kr/news/sports/11086416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