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미분양·PF·공사비 '삼중고' …1~2월 건설 수주 5년來 최저
    시사 경제 2024. 4. 8. 08:41

    미분양·PF·공사비 '삼중고' …1~2월 건설 수주 5년來 최저

    입력2024-04-08 07:00:24수정 2024.04.08 07:00:24 신미진 기자

    작년보다 40% 줄어 20조 그쳐

    민간부문 발주·토목은 반 토막

    주거용 건축 수주도 크게 줄어

    2~3년 뒤 공급 차질 가능성도

    viewer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모습. 연합뉴스

    올해 1~2월 국내 건설사들의 공사 수주액이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이 경색된 가운데 지방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면서 주택 수주 기피가 심화된 데다 공사비 급등에 토목 발주마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주택의 경우 착공 시점이 연기되면 2~3년 뒤 공급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7일 대한 건설협회에 따르면 올 1~2월 국내 건설사들의 건설 수주액은 전년 동기(34조 146억 원) 대비 약 39% 감소한 20조 6925억 원에 그쳤다. 이는 1~2월 기준 2019년(18조 543억 원)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은 금액이다.

    공공·민간, 건축·토목 등 모든 분야에서 수주액이 감소했다.

    발주처별로는 공공(-20%)보다 민간(-46%)으로부터의 수주액 감소 폭이 컸다. 공사 종류별로는 토목(-49%)의 감소세가 건축(-31%)보다 가팔랐다. 토목의 경우 에쓰오일이 약 1조 원을 투자해 울산에 조성하는 ‘샤힌 프로젝트’의 발주가 마무리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부동산 PF 상황이 악화하면서 사무실과 점포 등 비주거용 건축 공사가 줄어든 영향이 컸다"라고 분석했다.

    1~2월 기준 주거용 건축 수주액은 2022년 11조 원에서 지난해 7조 3508억 원으로 30% 이상 감소한 데 이어 올해도 10%가량 줄었다. 재개발·재건축을 의미하는 민간 주거용 건축 수주 실적은 2022년 10조 6847억 원에서 올해 6조 3626억 원으로 2년 새 40%가량 감소했다. 총 1560가구 규모로 아파트를 조성하는 대전광역시 가양동 1구역 재개발 조합은 지난달 시공사 선정 입찰 공고를 냈지만 단 한곳만 참여해 경쟁입찰 조건이 성립하지 않아 유찰됐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 주택도시공사(SH) 등이 발주하는 공공 주거용 건축 실적도 64%나 줄었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민간 정비 사업은 그나마 공사비 협상 여지가 있지만 공공은 공사비 현실화가 더뎌 더욱 수주를 꺼리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건설 수주액 감소의 주요인으로는 PF 구조조정에 따른 발주 감소와 공사비 상승이 꼽힌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0년 약 92조 원이었던 금융권 PF 대출 잔액은 2022년 130조 원으로 약 40% 급증했지만 지난해 말에는 135조 원으로 늘어나는 데 그쳤다. 그만큼 신규 개발 프로젝트가 사라졌다는 의미다. 한 시행사 관계자는 “올해 들어 정부가 PF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면서 자금 조달이 더 쉽지 않아 건설사들 먹거리도 사라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신세계 프라 버티는 건설 경기 악화를 이유로 내년 완공 예정이었던 복합 쇼핑몰 ‘스타필드 창원’의 개장 시기를 2027년으로 연기했다. 올 2월 전국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1만 1867가구로 전월 대비 약 4% 이상 늘어난 것도 수주 기피에 영향을 미쳤다.

    문제는 수주 잔액도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10대 건설사의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수주 잔액은 54조 5032억 원으로 전년(54조 6750억 원)보다 약 3% 감소했다. 2021년 30조 4604억 원에서 2022년 54조 6750억 원으로 약 80%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하락세가 두드러진다는 평가다.

    건설사들의 주택 수주 기피는 향후 공급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착공 및 분양 감소에 따른 주택 공급 감소는 2~3년의 시차를 두고 주택 시장 불안 요인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7TZ7V6L8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