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억 낮춘 급매도 안 팔려요"…강남 아파트마저 꺾였다
    지금 이곳에선 2023. 11. 24. 08:48

    "2억 낮춘 급매도 안 팔려요"…강남 아파트마저 꺾였다

    이인혁 기자이유정 기자김소현 기자한명현 기자

    입력2023.11.23 18:32 수정2023.11.24 02:06 지면A3

    강남구 아파트값 7개월 만에 꺾였다

    고금리 여파·저가매물 소진으로 매수 심리 꺾여

    전국 집값도 19주 만에 상승세 멈춰 '조정 국면'

    고금리와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서울 강남구 아파트값이 7개월여 만에 하락세로 전환하는 등 강남권 부동산 매수심리가 한풀 꺾였다. 최근 한 달 새 거래량이 급감한 서울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임대철 기자

    부동산시장 바로미터로 꼽히는 서울 강남구 아파트값이 7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전국 아파트 가격도 19주 만에 상승을 멈추면서 부동산시장이 조정 국면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2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지난 20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보합(0%)을 나타냈다. 전국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멈춘 것은 지난 7월 셋째 주 이후 19주 만이다. 서울은 0.03%로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한 주 전(0.05%)보다 줄어들며 상승 동력이 둔화하는 모습이다.

     
     

    올해 집값 상승을 주도한 강남구가 -0.02%로 하락 전환했다. 지난 4월 24일(0.02%) 이후 31주 만에 상승 랠리에 제동이 걸렸다. 지난주 0.02% 오른 서초구 역시 이번주는 보합을 기록했다. 2030세대가 많이 사들이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매수) 바람이 불었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도 상승세가 멈췄다. 수도권(0.03%→0.01%) 역시 상승폭이 줄었고, 지방(0.02%→0%)은 보합 전환했다.

    정부가 9월 말 특례보금자리론을 축소한 데다 고금리 기조, 저가 매물 소진 등이 복합적으로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다. 강남 서초 등 강남권의 하락세는 조정 신호로 읽힐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재건축 호재,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 등이 여전한 상황에서 강남구가 하락 전환한 것은 매수 심리가 꺾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단기 조정일지, 2차 하락일지를 두고는 전망이 엇갈린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신생아 특례대출, 역대 최저 수준의 아파트 입주량 등 내년에 집값을 자극할 수 있는 요인이 적지 않다”고 분석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최근 내년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약보합세(1% 상승)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개포동 아파트 3억 뚝…"상승호재 없다" vs "공급절벽이 가격 지탱"

    강남 집값 7개월 만에 하락…상승랠리 멈춘 '집값 바로미터'

    “몇 달 전만 해도 매수 문의가 한 달 20여 건 들어왔는데 최근엔 뚝 끊겼습니다. 원래보다 2억원 낮춰 급매로 내놔도 거래가 쉽지 않습니다.”(서울 강남구 A공인 관계자)

    고금리와 대출 규제, 경기 침체, 집값 급반등 피로감 등이 겹치며 서울 강남권 아파트마저 팔리지 않고 매물이 쌓이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거래 가뭄’ 속에 가격이 조정되기 시작하면서 강남구와 서초구 아파트값은 7개월여 만에 상승 랠리를 멈췄다. 전문가들은 아파트 매매시장이 조정 국면에 들어갔다고 보고 있다.

    ○개포동 전용 84㎡ 두달 새 3억원 하락

    2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전용면적 84㎡는 이달 27억원에 팔렸다. 지난 9월(29억9000만원)과 비교해 두 달 새 3억원가량 떨어졌다. 서초구 방배동 방배현대홈타운1차 전용 59㎡는 7월 14억8000만원에서 이달 13억1000만원으로 1억7000만원 빠졌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20일 기준) 강남구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02% 하락했고, 서초구는 보합(0%)을 유지했다.

    개포동의 한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강남권에서도 압구정 등의 재건축 호재 단지는 투자 수요가 있어 가격이 여전히 오르고 있다”면서도 “비교적 실거주 수요가 많은 송파구나 강남구 개포·도곡동 일대 대단지 아파트에서 호가가 내려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남권 아파트값은 올해 2~3분기에 빠르게 회복해 거의 전고점 수준에 다다랐다. 금리와 경기 여건이 악화해 거래가 끊기고 가격이 내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9510가구 규모 대단지여서 거래가 빈번하던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인근 공인중개소도 최근 썰렁하다. 9월 거래량은 27건이었는데, 지난달엔 11건으로 60% 감소했다. 이달 들어 신고된 거래는 한 건도 없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과 구로구 등 서울 외곽도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섰다. 도봉구 창동 ‘북한산아이파크5차’ 전용 101㎡는 9월 10억원에서 지난달 9억4000만원으로 떨어졌다. ‘영끌족’의 투자 수요가 몰린 노도강의 경우 대출 의존도가 높았다.

    9월부터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판매가 중단되고 최근 시중은행 대출금리가 오르고 있어 직격탄을 맞았다는 분석이다. 인천도 집값이 3주 연속 하락하고 있다. 5대 광역시도 지난주 0.01%에서 이번주 -0.02%로 방향을 바꿨다.

    ○보합이냐 vs 2차 하락이냐

    강남권은 ‘집값 바로미터’라는 점에서 내년 상반기까진 조정 국면이 전국으로 확산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매수자와 매도자의 힘겨루기 속에 지난달부터 거래가 급감한 데다 내년 상반기까지 시장을 끌어올릴 호재가 잘 보이지 않는다”며 “수도권 외곽과 지방의 타격이 더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물은 석 달 전(46만8637건)보다 12% 늘어난 52만4502건으로 집계됐다. 그만큼 거래가 잠겼다는 얘기다. 백광제 교보증권 수석연구원은 최근 리포트에서 “국내 아파트 가격이 장기적으로 현재 대비 최대 30%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하지만 급격한 가격 조정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전세시장이 강세를 띠고 있는 데다 내년 ‘공급절벽’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최근 전셋값은 강세를 띠고 있어 매매가격을 지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도 “내년 서울 입주 물량이 급감하는 만큼 전셋값은 계속 오를 수밖에 없다”며 “내년 금리와 국제경제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2분기부터는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인혁/이유정/김소현/한명현 기자 twopeople@hankyung.com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12397531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