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자 한봉지 7만원’ vs ‘칼국수 5000원’…지역 축제 가격 천차만별인 이유는지금 이곳에선 2023. 6. 9. 17:12
‘과자 한봉지 7만원’ vs ‘칼국수 5000원’…지역 축제 가격 천차만별인 이유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전국 곳곳서 지역축제 기지개 켰지만,
계속되는 바가지 요금 논란에 지역 이미지까지 훼손
자릿값 내고 들어온 외부 상인들
본전 뽑으려 먹거리 가격 비싸게 책정
조연우 기자입력 2023.06.09 14:38지난 4일 방송된 KBS '1박2일' 방송./방송 화면 캡처지난 4일 방송된 KBS 예능 ‘1박2일’에서 경북 영양군 영양산나물축제장을 찾은 출연진들에게 한 상인이 전통과자 1.5㎏ 1봉지를 7만원에 판매하려는 모습이 나와 ‘바가지 요금’ 논란이 불거졌다. 가격을 들은 출연진들은 깜짝 놀라며 3봉지에 10만원으로 가격을 맞춰달라 했지만, 상인은 시식을 많이 했다며 거절했다.실랑이 끝에 출연진들은 3봉지를 15만원에 사갔다. 100g당 1500~2000원 수준인 전통과자를 3배 이상 비싸게 산 것이다. 논란이 일자 영양군청은 방송 다음날 “축제기간에 외부에서 유입된 상인”이라고 해명했다.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벚꽃 축제 진해군항제도 ‘코로나 팬데믹’ 이후 4년 만에 개최됐지만, 비슷한 논란으로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한 관광객이 진해군항제 야시장에서 주문한 5만원짜리 통돼지바비큐 사진을 블로그에 올린 것이 발단이 됐다. 고기는 2명이 먹기도 모자랄 정도로 적었고, 그마저도 채소·야채만 가득한 모습이었다.사진을 본 네티즌들은 “손님을 호구로 본 것”이라며 분노를 쏟아냈다.반면 작년 9월 열린 서울 송파구 지역축제 한성백제문화제에선 사뭇 다른 풍경이 펼쳐졌다. 육개장·제육볶음·선지해장국·칼국수 등 한 끼 식사를 5000원대에 판매하면서 시민들의 이목을 끌었다.축제에 입점한 송파구 주민센터·부녀회 등은 선지해장국·육개장 등 국밥류를 일반 식당보다 저렴한 5000원대에 판매했다. 순대·떡볶이 등 분식류는 3000원대였고, 두부김치·오징어숙회 등 안주류도 1만원을 넘지 않았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간 중단 됐던 지역 축제가 재개됨과 동시에 ‘음식 바가지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그러나 서울 잠실처럼 ‘착한 가격’으로 화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축제 개최 주체인 지방자치단체의 관리·감독 수준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온다. 시민들은 지역 축제가 지역 이미지를 좌우하는 만큼 지자체가 적극적인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대다수 지역축제, 외부 용역업체가 관리대다수 지역축제는 지자체가 아닌 외부 용역업체가 기획·관리·운영하는 방식으로 열린다. 먹거리 가격을 정하는 것도 용역업체나 자릿값을 내고 들어온 외부 상인들이다.짧게는 3일, 길게는 2주 가까운 축제 기간 동안 비싼 자릿값을 만회하고 돈을 벌기 위해 음식을 비싸게 판매하는 현상이 빚어지는 것이다.수년 간 바가지 요금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한 지역축제도 지자체가 아닌 외부 용역업체가 축제를 운영하고 있었다. 관할 군청 문화관광과는 논란에 대해 “담당자(외부업체 관계자)는 따로 있다”며 “상인들이 가격을 책정하고, 우리는 지원금을 준다”고만 했다.작년 9월 영린 서울 송파구 한성백제문화제 먹거리장터 메뉴판./온라인 커뮤니티한성백제문화제를 기획한 송파구는 달랐다. 송파구는 축제에 참여하려는 업체가 낸 신청서를 직접 받아 참가 여부를 결정했다. 신청서에는 축제 기간 동안 어떤 음식을 판매할 것인지와 각 음식을 얼마에 팔 것인지 등 계획을 기재해야 한다.가격정찰표에 의한 판매를 원칙으로 한다는 서약서도 받는다. 비싼 가격에 판매하겠다고 할 경우 축제 참가가 거부될 가능성이 높아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몰래 비싼 가격에 판매하다 적발될 경우 서약을 위반한 것이어서 언제든 퇴출될 수 있다.송파구 관계자는 “먹거리를 판매한 사람들이 외식 업체는 아니기 때문에 일반 식당보다는 저렴하게 판 것 같다”면서도 “우리가 참가신청서를 받았기 때문에 가격 측정 자체를 높게 하지 않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지역축제 바가지 요금 논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자체가 가격을 터무니없이 높게 책정하는 영업점을 퇴출시키는 등 적극적인 관리·감독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소셜미디어(SNS)를 중심으로 지역축제 바가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역 이미지까지 망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만큼 지자체가 책임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이미 일부 지자체들은 논란이 생길 것을 염려해 대비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보령머드축제가 열리는 충남 보령시는 최근 수산물이 비성수기와 비슷한 가격을 유지하도록 권고하는 가격 안정 캠페인을 진행하기로 했다.바가지요금 신고센터와 숙박업소 요금 사전신고제도 운영된다.과거 지역축제를 기획했던 한 관계자는 “음식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인터넷 글이 올라오면 가게 운영을 못하게 손해배상 청구를 하겠다고 했더니 (업체 사장들이) 가격을 다 내렸다”며 “지금은 (지자체) 관리·감독이 안되니까 문제”라고 했다.
'지금 이곳에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떨어진 빵 재사용하고 바퀴벌레도 나와…햄버거 체인 위생 논란 (0) 2023.06.12 다시 영끌의 시간?…주담대 19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 [강진규의 외환·금융 워치] (0) 2023.06.09 [단독] 한국 원전 사우디 수출, 美에 달렸다…빈살만의 '도발' (3) 2023.06.09 목발 짚고 일본상의 만난 최태원…"부산·오사카 엑스포, 하나로 연결" (0) 2023.06.09 [단독] 한국 원전 사우디 수출, 美에 달렸다…빈살만의 '도발' (0) 2023.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