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위기 때마다 ‘민원’ 쏟아내는 종편과 모기업 신문
    지금 이곳에선 2023. 3. 16. 20:06

    위기 때마다 ‘민원’ 쏟아내는 종편과 모기업 신문

    기자명 금준경, 박서연 기자 입력 2023.03.16 09:50

    매경, 기고 통해 ‘MBN 업무정지 부당’ 전문가 의견 강조
    TV조선·조선일보, 점수조작 의혹 적극보도·비판적 입장 외면
    지상파 종편 이해관계 걸릴 때마다 일방적 보도 심각

    MBN 업무정지 조치를 앞두고 매일경제신문이 학자들의 기고를 받아 업무정지의 부당함을 호소하고 있다. TV조선과 조선일보는 TV조선 재승인 심사 점수 조작 수사 국면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보도를 하면서도 정작 수사에 비판적 입장은 외면하고 있다. 언론이 이해관계가 걸린 사안에서 최소한의 균형을 갖추지 않은 일방의 입장 보도는 시민의 객관적 판단을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문제다.

    위기 국면 때마다 보도 통해 압박

    MBN 최대주주인 매일경제신문이 지난달부터 방통위의 ‘MBN 업무정지 6개월’ 결정을 비판하는 내용의 칼럼을 게재하고 있다. <[기고] 득보다 실이 많을 방송사 영업정지>(지난달 9일, 하주용 인하대 교수), <[기고] MBN 영업정지, 과도한 언론 자유 침해 아닌가>(지난 2일, 지성우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더 공정한 종편’에서 MBN 해결 실마리 본다>(지난 9일, 양문석 공공미디어연구소 이사장) 등이다. 

    기고글 전체가 MBN 업무정지에 관한 내용은 아니지만, 일부 언급한 칼럼도 있었다. 최진봉·성동규 교수도 관련 내용을 언급해 ‘제재’에 비판적인 칼럼을 썼다. 최진봉 교수는 자발적으로 MBN 업무정지에 대한 내용을 쓴 것이라고 설명했다. “MBN의 업무정지 문제처럼 방송시장을 위축하고 구성원들의 고용 문제를 흔들 수 있는 사안들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관심과 문제 해결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

    ”(지난달 2일, 성동규 중앙대 교수) “법적 소송이 진행 중인 MBN 업무정지 사례에 대해서도 콘텐츠 제작 축소로 이어지지 않도록 규제 당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지난달 16일, 최진봉 성공회대 교수)

    ▲ MBN 최대주주인 매일경제신문이 방송통신위원회의 ‘MBN 업무정지 6개월’ 결정을 비판하는 칼럼을 게재하고 있다. 디자인=안혜나 기자

    이들 필진 가운데는 MBN에 패널로 출연하는 인사들도 있어 ‘이해충돌’ 소지가 있다. MBN의 모기업인 매일경제가 ‘기고’를 통해 전문가 의견을 내세우며 제재를 앞두고 유리한 여론을 만들려 하는 것 아니냐는 의문도 나온다. 칼럼을 쓴 필자 중 한 명인 A씨는 미디어오늘에 “매경 측에서 칼럼을 의뢰했다. 윤리적으로 조금 그렇다”고 말했다. 

    최근 TV조선 재승인 심사 점수조작 의혹 관련 보도는 당사자인 TV조선과 조선일보가 주도하고 있다. 포털 다음 기준 TV조선은 지난해 9월7일부터 현재까지 31건의 관련 기사를 냈다. 조선일보 역시 9월8일 지면부터 총 31건의 관련 기사를 냈다. 동아일보와 중앙일보는 각각 8건과 15건을 보도해 보도량에서 격차를 보였다. TV조선과 조선일보의 보도 시점은 동아일보(9월24일), 중앙일보(9월23일)보다 보름 가량 빠르기도 하다.

    특히 조선일보는 3건의 사설을 내면서 적극 쟁점화했다. <종편 점수 조작 줄줄이 구속, 방통위원장이 몰랐을 수 있나> <文 정권 방송 재승인 점수도 조작, 실무자 책임일 수 없다> <文 정권의 종편 재승인 점수 조작 정황, 전모 밝혀야> 등이다. 

    TV조선과 조선일보의 보도는 민원성은 아니지만 정작 ‘비판’ 목소리는 담지 않았다는 점에서 일방적 시선을 전달할 우려가 있다.

    TV조선과 조선일보는 △언론3학회 긴급 토론회 개최 △언론정보학회 연속 세미나 △언론학자들 서명운동 △언론학계 대책위 구성 △언론정보학회의 심사위원 추천 거부 입장 발표 등 소식은 다루지 않았다. 이전에도 종편은 위기 국면 때마다 자사와 모기업 신문 보도를 활용해왔다.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종편 의무전송 특혜 환수가 추진되자 ‘방송장악’이라며 맞선 사례가 대표적이다. 

    의무전송은 케이블과 IPTV에 의무적으로 채널을 편성하게 하는 제도로 종편 출범 당시 대표적인 특혜 중 하나였다.그러나 조선일보는 <방통위, 중간광고 의무송출 풀고죄며 방송계 쥐려나> 기사를 통해 “지상파와 종편에 대한 정부의 장악력을 확대하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동아일보 역시 사설을 통해 “정부의 방송정책이 비판 언론을 길들여 우호적인 언론 환경을 조성하려는 것 아닌지 의심을 산다”고 했다. 정치적 의도에 관한 논쟁도 필요하지만 의무전송이 특혜라는 기본적인 사실관계조차 소홀히 한 보도였다.

    이해관계에 따라 극과 극, 아전인수 보도

    “지상파 광고에 대한 과도한 규제를 이제는 풀어야 할 때가 됐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KBS 뉴스9) “지상파에 편중된 광고 규제 완화 정책에 대해 시민단체들도 단단히 화가 났습니다.”(MBN 뉴스8). 지상파 광고규제완화에 상반된 입장을 다룬 앵커멘트인데, 두 뉴스는 같은 현장을 다뤘다. 2015년 방송법 개정안 공청회 당시 격론이 오갔고 지상파와 종편은 각자 자신에 유리한 내용을 부각해 보도했다.

    이 같은 자사이기주의 보도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고, 종편만의 문제도 아니다. 2016년 한국언론학회 저널리즘연구회 소속 연구팀이 2011년 1월1일부터 5년6개월 동안의 지상파, 종편, 조중동 등의 보도를 분석한 결과 지상파와 종편의 규제 관련 보도의 95%가 자사에 유리한 논조였다.

    양측 모두 자사 이해관계가 얽힌 사안을 보도하면서 기본적인 균형을 맞추지 않고 일방의 입장만 다뤘다는 의미다. 특히 ‘지상파 규제완화’ 국면에선 조중동 3사의 비판적 기사는 155건에 달했다. 이는 조중동의 관련 보도량의 97.5%에 달하는 비중이다. 중립적인 보도는 4건에 그쳤다. 

    ▲ 지상파 중간광고에 반대하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매일경제 보도

    당시 지상파 방송은 다양한 이유를 제시하며 중간광고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상파 중간광고 매년 1조원 경제효과>(MBC) <중간광고 금지로 지역방송 위기>(MBC) <시청자 권익 위해서도 중간광고 해야>(MBC) <중국 하청기지화 우려... 중간광고 허용해야>(SBS) <공익 프로그램 위한 중간광고 찬성>(SBS) <제작비 현실화 위해 중간광고 허용해야>(KBS) 등이다. 

    반면 종편 겸영 신문은 <방만경영 적자에도 자구노력 않는 지상파…방통위, 중간광고까지 내밀며 구출 작전>(조선일보) <2조 쌓아놓고 방만경영 지상파…방통위, 중간광고 터주나>(중앙일보) 등 지상파의 ‘방만경영’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하며 중간광고 도입 저지에 힘을 실었다.

    ▲ 지상파3사의 '중간광고 도입' 관련 보도들. 우려를 전한 보도는 찾기 힘들다.

    이 과정에서 ‘유리한 수치’만 인용하는 등 아전인수격 보도도 이어졌다. 중앙일보와 조선일보는 지상파 중간광고로 지상파가 매년 1000억원 이상 추가 수익을 내는 반면, 신문 산업은 연간 201억~216억 원이 줄어든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 통계는 이들 신문이 소속된 한국신문협회가 발주한 보고서 내용으로 객관적이라고 보기 어렵다. 

    이들 신문은 지상파의 중간광고 효과가 크지 않다고 전망한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외면했다. 반면 지상파에선 중간광고 효과를 극대화한 ‘연 1조원 경제효과’를 부각해 보도했다. 막강한 영향력을 지닌 언론의 자사이기주의 보도는 그 자체로 ‘무기’가 된다. 

    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한 보좌진은 “토론회나 회의 장소에서 주요 방송사 카메라가 있으면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며 “의원이 민원성 보도를 통해 현안을 접하고 문제로 여기기도 한다”고 했다. 방송심의규정 9조4항은 “방송은 당해 사업자 또는 그 종사자가 직접적인 이해당사자가 되는 사안에 대하여 일방의 주장을 전달함으로써 시청자를 오도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9035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