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얼푸드] 건강 위협하는 플라스틱, 주방에서 덜 쓰는 방법지금 이곳에선 2023. 2. 21. 10:06
[리얼푸드] 건강 위협하는 플라스틱, 주방에서 덜 쓰는 방법
2023.02.21 09:16
“플라스틱 용기에 뜨거운 음식 피해야”천연 소재 수세미· 유리 용기 활용
[리얼푸드=육성연 기자] 플라스틱은 오늘날 지구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요인으로 지적받고 있다. 환경 오염과 더불어 개인의 건강까지 위협한다는 사실은 더욱 심각한 문제다.
실제로 2022년 국제학술지 유해물질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실린 영국 헐요크 의과 대학교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플라스틱에 자주 노출될수록 체내 세포가 손상될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을 뒤덮은 플라스틱을 완전히 막을 수 없다면, 이전보다 사용을 줄이고 대체 가능한 친환경 용품의 사용을 늘려나가면 된다. 가정 내 주방에서도 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방법 또한 그리 복잡하지 않다.
생수·비닐봉지·랩 대신 유리병·스테인레스
생수는 플라스틱 오염 문제의 대표 사례로,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 플라스틱 생수의 유해성이 보고돼왔다. 2018년 미국 프레도니아 뉴욕주립대의 세리 메이슨 미세 플라스틱 전문 연구원은 논문을 통해 “우리가 먹는 생수들은 미세 플라스틱에 광범하게 오염돼있다”며 전 세계에서 시판되는 생수 250개 중 유명 브랜드를 포함해 93%의 제품에서 미세 플라스틱 조각들이 발견됐다고 전했다.
생수를 정기적으로 주문하는 대신 정수기나 직접 끓인 물을 마시고, 물은 가급적 유리병에 담아 마시는 것이 좋다. 이와 더불어 가정에서 쉽게 사용하는 비닐봉지나 랩 또한 음식에 직접 닿는 영향을 고려한다면, 가급적 유리 용기에 담는 것이 좋다.
뜨거운 음식은 반드시 피하기…“플라스틱 용출 높아져”
식생활에서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가장 높이는 행위는 뜨거운 음식을 그대로 플라스틱 용기에 담는 것이다. 프탈레이트류를 비롯해 플라스틱 속 화학물질들은 고온에서 용출될 우려가 있다.
뜨거운 음식이나 액체는 일반 플라스틱 용기나 비닐봉지, 랩에 담는 것을 피하고, 유리로 된 밀폐용기나 도자기 그릇에 담는 것이 권장된다.
폴리에틸렌으로 코팅된 일회용 컵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연구팀은 환경과학기술(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저널을 통해 “일회용 컵에서 ℓ당 조 단위의 나노 플라스틱(초미세플라스틱) 조각이 용출되고 있다”며 “특히 물의 온도를 22도에서 100도로 올린 결과 용출되는 나노 플라스틱은 2배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나노 플라스틱은 높은 온도에서 용출되기 쉽다는 얘기다.
옥수수·삼베…수세미도 친환경 소재
옥수수 수세미 [맑음생활 제공]설거지 과정에서도 플라스틱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바로 수세미를 친환경 소재로 바꾸는 일이다. 일반 수세미에서 떨어지는 미세 플라스틱은 설거지 후 식기에 달라붙을 수 있다. 최근에는 100% 생분해성 옥수수로 만든 수세미를 비롯해 삼베 수세미 등 친환경 소재로 만든 수세미들이 다양하게 나와있다.
배달 주문시 ‘일회용 수저 받지 않기’
포장 주문은 많은 양의 일회용 수저와 비닐봉지, 플라스틱 용기로 가득차 있다. 가정에서 음식을 배달주문한다면, 간단한 체크만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일회용 수저·포크 받지 않기’ 해당란에 체크를 한 후 주문하는 방법이다. 아예 플라스틱 용기를 피하고 싶다면, 가정 내 용기를 매장으로 가져가 음식을 담아오는 것도 좋다.
gorgeous@heraldcorp.com
gorgeous@heraldcorp.com
'지금 이곳에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같은 송도인데…집값 6억 '반토막' vs 13억 '신고가', 왜 (0) 2023.02.21 [단독]尹, 노조 회계공개 불응 시 시행령 개정해 수백억 세제혜택 박탈 (0) 2023.02.21 튀르키예 또 규모 6.4 지진 3명 사망 200여명 부상…“섣부른 재건 안돼” (0) 2023.02.21 “EU 분담금 아낀다”며 3년전 브렉시트… GDP 손실액이 9배 (0) 2023.02.20 무임승차는 65세, 주택연금은 55세···제도마다 다른 ‘노인’의 기준 (0) 2023.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