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나 가져야 부동산 상위1%?…기준선 30억원으로 급상승[집슐랭]지금 이곳에선 2025. 3. 24. 09:50
얼마나 가져야 부동산 상위1%?…기준선 30억원으로 급상승[집슐랭]
입력2025-03-24 07:00:22수정 2025.03.24 07:00:22 백주연 기자
서울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최근 5년 새 '상위 1% 부동산 부자'를 결정하는 기준선이 5억 원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중간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2000만 원 증가하는 데 그치며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23일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부동산 자산이 상위 1%인 가구의 기준선은 30억 원이었다. 최소 30억 원 이상의 부동산을 소유해야 상위 1%에 해당한다는 의미다.
지난 2019년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부동산 상위 1%의 기준선은 24억 6000만이었다. 5년 새 상위 1% 기준선이 5억 4000만 원이나 올라간 것이다.
상위 5%의 기준선도 2019년 11억 2000만에서 2024년 14억 1000만으로 2억 9000만 원 상승했다. 상위 10% 역시 7억 5000만 원에서 9억 5000만 원으로 기준선이 2억 원 올라갔다.
반면 같은 기간 부동산 자산 기준으로 줄을 세웠을 때 가운데에 해당하는 중위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2000만 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중위가구 기준선은 2019년 1억 6000만 원, 2021년 1억 8000만 원이다. 단 상위 1%, 5% 안에 드는 표본 가구가 많지 않은 만큼 통계적 유의성에 주의해야 한다.
부동산 양극화 심화는 '순자산 쏠림'으로도 이어졌다. 순자산 10분위 가구(상위 10%)의 평균 순자산은 2019년 15억 3000만 원에서 지난해 20억 원으로 4억 7000만 원가량 증가했다. 전체 순자산 중 10분위 가구의 점유율도 43.3%에서 44.4%로 늘었다.
같은 기간 순자산 9분위 가구 또한 순자산이 6억 4000만 원에서 8억 4000만 원으로 늘었다. 점유율도 18.2%에서 18.6%로 커졌다. 반면 순자산이 '마이너스'인 1분위를 제외한 2~8분위 가구의 순자산 점유율은 2019년에서 지난해로 넘어오면서 대부분 감소했다.
'지금 이곳에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덕수 총리 오늘 운명의 탄핵 선고…윤 대통령 판결 '풍향계' (0) 2025.03.24 "등기부, 통장 명의 확인도 안 통해" 신종 전세사기 수법 보니 [헬로홈즈] (0) 2025.03.24 1월 서울 평균 아파트값 13.8억…역대 최고[집슐랭] (0) 2025.03.24 경남 김해서도 산불 '2단계' 발령…의성군 4.8%·산청군 25% 진화 (0) 2025.03.23 투표로 국민 밥반찬 할인… 저속노화 식단 반값 판매 [이 가격 실화냐?] (0) 2025.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