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환율·고유가에 수입물가 4개월 연속↑…트럼프 관세정책에 더 뛴다지금 이곳에선 2025. 2. 14. 12:06
고환율·고유가에 수입물가 4개월 연속↑…트럼프 관세정책에 더 뛴다
입력2025-02-14 06:00:23수정 2025.02.14 06:00:23 김혜란 기자
■한은 수출입물가지수
1월 수입물가 2.3% 상승
고환율에 유가마저 부채질
SK울산CLX전경. 사진 제공= SK이노베이션
원·달러 환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국제유가마저 큰 폭으로 뛰면서 수입물가가 4개월 연속 상승했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 통계에 따르면 원화 기준 수입물가는 1월 전월 대비 2.3% 뛰었다.
수입물가는 지난해 10월(2.1%)부터 오르기 시작해 1월까지 4개월 연속 상승했다. 전년 동월대비로는 6.6%나 급등했다.올해 들어서도 환율이 오른 탓이 컸다. 원·달러 평균 환율은 1월 1455.79원으로 전월 대비 1.5% 상승했다.
국제유가 상승세도 영향을 미쳤다. 1월 두바이유가는 월평균 배럴당 80.41달러로 전월 대비 9.8%나 뛰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원재료는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1.4% 상승했다. 중간재는 석탄 및 석유제품, 화학제품이 오르며 1.6% 뛰었다. 자본재 및 소비재는 각각 0.8%, 1.0% 올랐다. 품목별로 보면 커피와 원유가 전월 대비 6.5%, 11.4%씩 뛰었다.
수출물가도 고환율·고유가 여파에 전월대비 1.2% 뛰었다. 전년동월비로는 8.5% 올랐다. 세부적으로 보면 농림수산품이 전월대비 0.8%내렸지만 공산품이 화학제품, 석탄및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1.2% 뛰었다.
수입 물가 상승은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은은 “트럼프 관세 정책 변화에 따라 글로벌 시장에서 거래 가격 변동이 생긴다면 한국의 수출입물가에도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짚었다.
수출물량지수는 1월 조업 일수가 줄면서 운송장비, 석탄 및 석유제품이 감소해 전년 동월비 10.7% 고꾸라졌다. 수출금액지수는 11.1% 하락했다.
수입물량지수는 광산품, 화학제품 등이 감소해 3.8% 하락했다. 수입금액지수는 7.1% 내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입 가격(-3.4%)이 수출가격(-0.4%)보다 더 큰폭으로 빠져 전체로는 3.1% 뛰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 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로,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3.1%)가 올랐으나 수출물량지수가 10.7% 고꾸라지면서 7.9% 하락했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우리나라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전체 상품의 양을 나타낸다.
'지금 이곳에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취업자 수, 4년 만에 ‘최대 감소’ 쇼크…건설업도 최대 감소 (0) 2025.02.14 홍준표 "'명태균 황금폰' 모지리들이 떠드는것…내 목소리 있으면 폭로하라" (0) 2025.02.14 "나가서 샌드위치 먹던데요"…공무원들의 짠한 출장길 [관가 포커스] (1) 2025.02.14 허 찔린 '트럼프'…25% 관세에도 "美보다 싸다" 대반전 (1) 2025.02.14 우크라 720조 '돈폭탄' 터진다…들썩이는 '이 회사' 어디? (1) 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