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회사 밖은 지옥" 후배 리더 아래서 버티는 엘더
    지금 이곳에선 2024. 7. 8. 10:15

    "회사 밖은 지옥" 후배 리더 아래서 버티는 엘더

    정규직 근로자 평균 근속연수 98개월 기록해 역대 최장

    50대 창업은 3년째 줄어 26만명… 통계 집계 이후 최저

    정석우 기자

    김지섭 기자

    입력 2024.07.08. 00:55업데이트 2024.07.08. 01:15

    일러스트=김성규

    대기업 A사의 직원들은 50대가 돼도 임원이나 팀장으로 승진하지 못한 만년 차장급을 ‘엘더(elder·연장자)’라고 부른다. 임원이나 팀장을 뜻하는 ‘리더(leader)’에 빗댄 것이다. 이 회사 팀장급 이모(46)씨는 “10여 년 전만 해도 승진에서 밀린 선배들이 편의점이나 치킨집을 차리거나 납품사를 꾸리는 식으로 ‘제2의 인생’을 찾아나갔는데, 요즘은 정년까지 버티는 분위기”라고 했다.

    나이는 많지만 직급이 낮은 엘더들을 대하는 방식은 직군마다 다르다. 사무직군 부서에서는 40대 후반 ‘리더’가 50대 ‘엘더’들에게 회계 서류 검토 등 단순 업무를 맡기는 식으로 새로운 트렌드에 적응하고 있다. 반면 상·하급자 간 위계질서가 강한 생산직군은 불편한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해 엘더들을 따로 모아 품질 검수 등을 담당하는 별도 팀을 만들고 있다.

    그래픽=양인성

    은퇴를 앞두고 자영업 창업에 도전하기보다 회사 울타리를 벗어나지 않으려는 50대 직장인들이 늘고 있다. 현재 60대가 된 1차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가 50대 시절 만년 차장·부장 생활을 접고 편의점 등을 차린 것과 달리, 지금 50대인 2차 베이비부머(1964~1974년생)들은 회사 밖에서 지옥을 맛본 선배들의 ‘학습 효과’를 교훈 삼아 어린 상급자 밑에서 직장 생활을 이어가는 것이다.

    7일 통계청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정규직 임금 근로자의 평균 근속 연수는 지난해 98개월로 첫 통계가 집계된 2004년 이후 최장 기록을 세웠다. 평균 근속 연수는 1차 베이비부머들의 은퇴가 시작된 2015년엔 88개월이었지만, 8년새 10개월 늘어난 것이다.

    근속 연수가 늘어난 것은 창업하는 50대가 줄어든 점과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 사업자나 법인 형태로 신규 사업체를 꾸린 50대는 26만2877명으로 2021년부터 3년 연속 감소세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6년(28만9138명) 이후 가장 적다.

    전체 창업자 가운데 50대의 비율도 지난해 21.2%로 역대 최저다. 소자본 창업이 가능한 인터넷 쇼핑몰, 1인 미디어 등 창업이 늘면서 20대 창업 비율은 지난해 13.7%, 30대는 25%로 역대 최대다.

    그래픽=김성규

    ◇“회사는 전쟁터? 밖은 지옥”

    20년 차 IT 분야 대기업 부장 김모(47)씨는 “정년퇴직하는 직장 선배들이 부쩍 늘었다”고 했다. 10년 전만 해도 1년에 한두번 정년퇴직 공지가 뜨고 정년퇴직자 수도 한 자릿수에 그쳤는데, 요즘은 한 달에 10여 명씩 정년퇴직 명단이 게시된다는 것이다.

    김씨는 “‘창업해본 선배들’을 만나면 ‘회사 안은 전쟁터지만 회사 밖은 지옥’이라는 웹툰 ‘미생’의 대사를 인용하며 창업을 만류한다”며 “선배들의 잔소리가 40·50대 동료들이 회사에서 버티는 원동력”이라고 했다.

    그는 “대기업도 어려운데 직장인들이 주고객인 자영업이 잘될 리가 있겠냐는 분위기가 팽배해 창업은 엄두도 안 내는 분위기”라며 “IT 분야 창업도 20~30대 직원들이 할 뿐, 40~50대는 만년 차장, 부장에 머무르더라도 정년을 채우자는 사람이 많다”고 했다.

    한 50대 은행원은 “늦은 나이지만 은행에 남아서 열심히 해보는 것이 밖에서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치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라고 했다.

    ‘자영업 사장님’이라는 선택지를 버린 50대들은 만년 차장 신세를 감수하고 직장에서 버티고 있다. 최근 한 대형 마트가 희망퇴직을 실시했지만, 지원자가 수십명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 직원은 “80년생 전후 부서장이 나와도 승진에서 밀린 70년대생이 옛날처럼 그만두지 않고 버티는 분위기”라며 “점포 정리정돈 담당으로 발령이 나도 자녀들이 어리고 ‘나가봐야 뾰족한 수도 없다’는 이유로 적응하고 지내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7일 중식당으로 운영되던 서울의 한 상가 1층에 새 임차인을 구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내수 부진과 고금리 장기화로 음식점과 숙박업을 중심으로 자영업 폐업이 늘어나는 가운데, 정년까지 회사를 다니려는 50대 직장인들이 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1~3월 외식업 폐업 건수는 2년 전보다 26% 급증했다. /장련성 기자

    ◇은행 희망퇴직 두 자릿수 감소세

    모바일 금융 확대 분위기에 맞춰 오프라인 점포를 줄이기 위해 억대 퇴직금을 주고 희망퇴직을 독려해온 은행권에서도 희망퇴직 열풍은 식어가는 추세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국내 4대 은행의 올해 상반기(1~6월) 희망퇴직 인원은 1496명으로 작년 상반기(1729명)보다 13.5%(233명) 줄었다.

    한 시중은행 차장은 “따박따박 통장에 찍히는 수백만원대 월급이 한 번에 찍히는 수억원대 퇴직금보다 안정감이 오히려 높다고 생각하는 고참 직원이 많다”고 했다.

    다른 시중은행 50대 팀장급 직원은 “50대 후반에 임금피크제 적용 대상이 돼 월급이 반 토막 나도 버티는 직원이 많다”며 “늦은 나이에 자녀를 갖는 경우가 늘면서 50대가 돼도 중학생, 고등학생 자녀를 둔 경우가 많은데, 자녀들이 장성할 때까지 은행원 직함을 달고 있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도 있다”고 했다.

    ◇그만두더라도 창업 대신 다른 회사로

    1962년생인 B씨는 5년 넘게 한 대기업에서 ‘부장급 팀원’ 생활을 하다가 2022년 정년을 마치고 퇴직했다. 동기나 후배들이 팀장 직책을 단 뒤 빠르게는 40대 중반부터 임원으로 승진했지만, A씨는 한 번도 팀장을 달지 못하고 직급만 부장급으로 높아졌다.

    2년 치 월급을 주고 희망퇴직하라는 회사 공고가 수시로 떴지만, 그는 회사를 떠나지 않았다. B씨의 회사 후배인 40대 직원은 “거액의 퇴직금을 준비 안 된 창업으로 일시에 날리느니 안정적인 월급을 따박따박 받으며 정년까지 다니는 것이 낫다는 ‘롤 모델’을 알려준 선배”라고 했다.

    다니던 직장에서 미래가 보이지 않더라도 창업하는 대신 다른 직장에서 월급쟁이 생활을 이어가는 경우가 많다. 한 패션업체 인사 담당 팀장(44)은 “10~20년 전만 해도 만년 부장, 차장들이 나가서 도매업을 하거나 숍을 차리는 경우가 많았는데, 요즘은 작은 브랜드나 신생 브랜드로 옮겨서 노하우를 전수하는 일을 하는 식으로 월급쟁이 생활을 하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2차 베이비부머

    특정 기간 인구가 급증한 때 태어난 세대를 베이비부머라 한다. 6·25 전쟁이 끝난 뒤 출생이 늘어난 1955~1963년 태어난 세대를 1차 베이비부머, 이후 산업화가 급속 진행되면서 연간 출생아 수가 90만~100만명에 달했던 1964~1974년생을 2차 베이비부머라 부른다.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4/07/08/U7SNPLWO5NGCXHGNZYHL4ZCCVE/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