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 1건, 하루 3건으로 늘었다”…국내 빈대 확산에 방역업체도 ‘비상’지금 이곳에선 2023. 11. 2. 17:45
“월 1건, 하루 3건으로 늘었다”…국내 빈대 확산에 방역업체도 ‘비상’
“서울은 물론 경기, 인천 전역에서 신고 폭주”
“수면장애 등 정신 피해 유발…조기 박멸해야”
“고시원, 찜질방 들르는 외노자 기점으로 확산”
입력 2023.11.02 15:41
지난달 서울의 한 고시원 벽지를 뜯어내자 빈대와 함께 빈대 배설물로 오염된 벽지 안쪽 모습이 드러나는 모습. /원스톱방역 제공서울의 한 고시원 벽지를 뜯어내자 새끼손톱 만한 벌레 여러 마리가 우수수 떨어졌다.벽지 안쪽은 이미 벌레가 남긴 배설물로 까맣게 오염된 후였다. 벌레의 정체는 최근 서울을 비롯해 경기, 인천, 충청 등 전국으로 퍼질 기미를 보이는 빈대였다. 빈대를 확인하자 하얀 전신 방역복을 입은 남성이 작은 집게로 벌레들을 잡아냈다. 투명한 실험용 접시(샬레)에 빈대를 옮겨낸 남성은 미리 준비해온 해충약들을 꺼냈다.이후 남성은 살아있는 빈대들을 한 마리씩 마룻바닥에 내려놓은 뒤 “약품 테스트 진행합니다”라는 말과 함께 빈대마다 각기 다른 해충약을 조금씩 뿌렸다. 일종의 ‘성능 테스트’를 현장에서 진행한 것이다. 정의석 원스톱방역 대표는 “빈대 종류나 상태에 따라 잘 듣는 해충약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약이 가장 효과가 있나 먼저 확인하는 작업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이날 방역팀이 고른 건 빈대를 30초 만에 죽인 A 제품이었다.해충약 선택을 끝낸 방역팀은 청소기를 먼저 꺼내들었다. 살아있는 빈대나 시체, 분비물과 같은 것들을 먼저 깔끔하게 제거한 뒤 적재적소에 약물 처리를 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는 게 방역팀 설명이었다.
지난달 서울의 한 고시원에서 나온 빈대를 향해 방역팀이 해충약을 뿌려 약효를 테스트하는 모습. /원스톱방역 제공유럽을 비롯한 해외 관광지에서나 보이던 빈대가 국내로 들어와 빠르게 퍼지면서 사설 방역업체들에 ‘빈대 퇴치’ 의뢰가 폭주하고 있다. 비단 서울뿐만 아니라 경기, 인천은 물론 그 밖에 있는 지방에서도 빈대를 잡아달라는 신고가 늘어나는 상황이다.정 대표는 “원래 빈대 퇴치 출장은 한 달에 한두건 있을까 말까 한 수준이었는데 최근에는 하루에만 두세번씩 나가고 있다”며 “초반에는 서울 위주였으나 최근에는 서울 밖에서 지역을 가리지 않고 (빈대 퇴치) 의뢰가 들어온다”고 말했다. 이날 정 대표는 오전에 경기도 평택, 오후에 충남 당진으로 빈대 퇴치 출장을 나갔다.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는 한 사설 방역업체 관계자는 “경기도는 광주와 그 인근 지역을 빼면 사실상 남쪽 북쪽 가리지 않고 의뢰가 쏟아지는 상황”이라며 “서울도 25개 자치구 중 최소 절반 이상은 이미 출장 이력이 있고 앞으로 점점 숫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빈대 한 마리가 침대 위를 기어가고 있다. /유튜브 캡쳐해외에서 이른바 ‘베드 버그(침대 벌레)’라 불리는 빈대는 침구류나 의자에 서식하며 사람 피를 빨아먹고 산다. 빈대 성충은 피를 빨지 않아도 길게는 6개월까지 살아있을 수 있다. 강한 생존력 때문에 번식도 잘 돼서 한 번 퍼지면 좀처럼 박멸이 어렵다.때문에 바퀴벌레, 곱등이와 같이 악명높은 해충들보다 퇴치가 까다롭다는 말도 나온다.빈대에게 물리면 해당 부위가 빨갛게 부어오르며 간지러움이 느껴진다. 이는 모기와 비슷한 증상이지만 전문가들은 모기보다 빈대가 훨씬 큰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때문에 발견 직후 초기에 박멸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한다.양영철 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는 “모기는 한두마리 날아다니는 걸 잡으면 그만이지만 빈대는 베개 커버, 침대 시트, 이불과 같은 곳에 찰싹 달라붙어 있어 찾기도, 잡기도 어렵다”며 “빈대가 퍼진 침대에서 하룻밤만 잠을 자도 30~50번씩 온 몸을 물어 뜯기기 때문에 그로 인한 정신건강 피해가 불면증, 만성피로, 극심한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사설 방역업체들은 해외에서 국내로 오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통해 빈대가 들어온다고 파악 중이다. 정 대표는 “외노자들이 한국에 들어와 가장 많이 지내는 곳이 고시원, 찜질방이다”리며 “이곳을 기점으로 머릿수를 늘려가던 빈대가 같은 고시원에 살거나 찜질방을 다녀간 사람들을 매개체 삼아 지하철, 영화관, 호텔 등까지 퍼지는 패턴”이라고 말했다.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3/11/02/CKLFJBGXPVC3PMRL772ZH537CM/?utm_source=naver&utm_medium=newsstand&utm_campaign=biz
'지금 이곳에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평 땅도 얹어 줄게요”…수익성 쪼그라든 주유소, 업주들, “일단 팔고 보자” (0) 2023.11.02 ‘사퇴·기권·불참’ 진통 끝…아시아나 이사회 화물 사업 매각 (0) 2023.11.02 강남 수서동 30년된 소형 아파트에 매수세 몰린 이유 (1) 2023.11.02 [인터뷰] 윌슨 화이트 구글 부사장 “구글플레이는 열린 생태계… 이용자 위한 ‘보안’ 타협할 수 없어” (0) 2023.11.02 ‘사퇴·기권·불참’ 진통 끝…아시아나 이사회 화물 사업 매각 (0) 2023.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