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5000억원 피해 ‘옵티머스 펀드 사기’… 대형 금융 사기에서 권력형 게이트로 비화
    지금 이곳에선 2023. 1. 20. 13:41

    5000억원 피해 ‘옵티머스 펀드 사기’… 대형 금융 사기에서 권력형 게이트로 비화

    부활한 증권범죄수사단, 옵티머스 사태 재수사

    공공기관 채권 투자로 유인해 5000억원 사기

    입력 2023.01.20 06:00
    옵티머스자산운용은 2017년 6월 5일, ‘옵티머스 1호’ 펀드를 설립했다. 한국전파진흥원으로부터 약 100억원을 투자받아 조성한 펀드로, 옵티머스는 이 돈을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 매출 채권에 투자한다고 했다. 손실 날 염려가 없는 안전 자산에 투자해 연 3% 안팎의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설명이었다. 전파진흥원은 방송통신 소외계층 지원, 시청자 피해 구제 등에 쓰이는 방송통신발전기금과 정보통신 국책 개발사업에 쓰이는 정보통신진흥기금 등 공적자금을 옵티머스에 투자했다.
    이후 옵티머스는 공공 기관 투자금 수백억원을 유치한 자산운용사로 명성을 얻어 2017년부터 3년 동안 2조원어치 이상의 펀드 상품을 팔았다. 처음에는 기관이 주요 투자자였지만, 인기가 높아지자 개인 투자금도 유입됐다. 그런데 2019년 옵티머스는 돌연 증권사에 만기가 도래한 일부 펀드에 대해 상환 연기를 통보했다. 희대의 금융 사기극으로 불리는 옵티머스 사태는 이렇게 시작됐다.

    옵티머스 펀드 사기 피해자와 금융피해자연대 등 참석자들이 지난해 12월 금융감독원 앞에서 시위하는 모습./연합뉴스
    검찰이 최근 ‘부실 수사’ 논란으로 마무리된 옵티머스 펀드 사기 사건에 대한 재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1000여 명에게 5000억원대의 피해를 준 옵티머스 사건에 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옵티머스자산운용은 투자 안전성이 높은 공공기관 매출채권에 투자한다면서 3200여 명으로부터 막대한 자금을 끌어모은 뒤 실제로는 부실 채권을 인수하거나 자금을 빼돌려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대형 금융 사기 사건으로 시작됐지만, 정·관계 인맥도 복잡하게 얽혀있는 것으로 확인돼 권력형 게이트로도 번졌다. 하지만 2021년 검찰이 의혹이 제기된 관계자들을 무혐의 처분하면서 수사는 흐지부지 끝났다.
    ◇ 옵티머스 일당 쌈짓돈처럼 쓰인 펀드 자금
    검찰 조사에 따르면 옵티머스 사태는 대우그룹 출신으로 동부증권 부사장 등을 지낸 정영제 전 옵티머스대체투자 대표가 이혁진, 김재현 옵티머스 공동대표에게 펀드 설립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이들은 부동산과 개발사업 등 위험자산에 투자할 계획을 갖고도 공공기관 매출채권에 직·간접 투자하겠다는 내용의 투자제안서를 꾸며 투자자금을 모집했다.
    초저금리 시대에 연 3% 안팎의 수익을 목표로 내건 상품을 NH투자·한국투자 등 증권사들이 앞다퉈 판매에 나서면서 펀드는 날개 돋친 듯 팔렸다.
    그런데 2019년 중순, 불안한 조짐이 나타났다. 옵티머스가 만기가 도래한 일부 펀드에 대해 상환 연기를 통보한 것이다. 채권을 지불하지 못할 일이 없는 공공기관에 투자한 펀드에는 생각하기 어려운 일이 발생한 셈이다. 이후 금융감독원이 옵티머스를 집중관리대상으로 분류해 자금유출입 등을 모니터링했지만, 결국 2020년 6월 옵티머스 펀드 3개에서 환매 중단 사태가 발생했다.




    그래픽=손민균
    금감원과 검찰 조사 결과 밝혀진 내용은 충격적이었다. 옵티머스는 2조원 이상의 펀드를 판매했는데, 이 중 1조5000억원 정도는 환매가 이뤄졌지만, 나머지 5000억원은 옵티머스 일당의 쌈짓돈처럼 쓰였다.
    금감원이 삼일회계법인으로부터 받은 옵티머스 펀드 실사보고서에 따르면 옵티머스에 묶인 5146억원의 펀드 투자 원금 중 3515억원이 투자에 쓰였는데, 공공기관 채권이 아니라 위험도가 높은 부동산 개발사업, 비상장 부실기업 주식, 옵티머스와 관련된 회사가 발행한 채권 등에 투자됐다.
    삼일은 이 투자액의 최대 회수 가능 비율을 20% 정도로 추정했다.
    회수 불가능한 사채 이자와 운영비 700억원을 비롯해 사용처가 확인되지 않은 자금도 1400억원에 이른다. 이들은 펀드 자금 일부를 반복 이체를 거쳐 자신의 증권계좌로 입금하고, 이를 주식·선물옵션 등의 매매에 이용하기도 했다.
    ◇ 검찰, 로비 의혹 전원 무혐의 처분… ‘부실 수사’ 논란
    검찰의 조사가 진행되면서 옵티머스 사건은 대형 금융 사기에서 정관계 로비 의혹으로 비화됐다. 옵티머스의 펀드 사기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다수 정·관계 인사가 깊숙이 관여된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옵티머스는 자금 흐름을 감추기 위해 페이퍼 컴퍼니(서류상 회사)를 활용했다.
    옵티머스는 페이퍼 컴퍼니 씨피엔에스·아트리파라다이스·라피크·대부디케이 등을 세워 펀드로 모집한 투자금으로 이들 사채를 사들였다. 이중 일부 자금은 다시 트러스트올·셉틸리언 등으로 흘러갔는데, 트러스트올은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복합기 대여금을 지원해준 의혹을 받는 업체이고, 셉틸리언은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을 지낸 이모씨의 남편 윤석호 옵티머스 사내이사가 최대주주다.

    그래픽=손민균
    이후에는 담당 수사팀이 청와대와 정·관계 인사 20여명이 거론된 옵티머스 내부 대책 문건, 이른바 ‘펀드 하자 치유 관련’ 문건을 확보하고도 수사를 미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문건에는 옵티머스 일당이 채동욱 전 검찰총장,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양호 전 나라은행장, 김진훈 전 군인공제회 이사장 등을 고문으로 두고 정관계 로비를 해왔다는 내용이 포함됐지만, 검찰은 지난 2021년 8월 이들을 전원 무혐의 처리했다.
    지난해 대법원은 사기 혐의로 기소된 김재현 대표에 대해 징역 40년에 벌금 5억원, 추징금 751억7500만원의 형을 확정했다. 옵티머스 2대 주주인 이모씨도 징역 20년에 벌금 5억원을 확정받았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